백두대간 제57-15구간 (덕산재~삼도봉~삼마골재)
◐ 언 제 : 2011 / 10 / 15 (토)
◐ 어디로 : 덕산재 ~ 5.3㎞ ~ 부항령 ~ 8.2㎞ ~ 삼도봉 ~ 0.72㎞ ~ 삼마골재 ~ 3.0㎞ ~ 해인리
<덕산재 ← 대간구간(14.22㎞) → 삼마골재 ← 접속구간(3.0㎞) → 해인리>
◐ 얼마나 : 약 7시간 (휴, 중식시간 포함) / 17.22㎞ (접속누계 139.01㎞ / 대간누계 432.7㎞)
◐ 누구랑 : 山仰 첫째셋째 토요팀외 13명
◐ 날씨는 : 쾌청함, 시계양호
■ 시간대별
08:30 > 덕산재 ~ 스트레칭 ~ 10:15 > 부항령 ~ 11:10 > 백수리산 (1,034m) ~ 12:20 > 중식
13:11 > 삼각지점 ~ 14:11 > 해인산장 갈림길 ~ 14:36 > 삼도봉 (1,176m) ~ 14:59 > 삼마골재
15:51 > 산불 감시초소 ~ 16:00 > 해인리 마을회관
■ 지형도

■ 위성도

■ 고도표

~ 산행기 ~
06:00 연호동
한해 늦게 출발하여
뒤 따라 오던 산앙 첫째 셋째 토요팀의 대간 일정이
늘 마음에 부담으로 남아있던 숙제 다섯구간(57-15부터~19구간)과
일치함으로 오늘 57-15구간 첫 탐방에 나선다.
이제 12월까지는 매주 대간 산행을 하여야 한다.
하필 결혼식도 많고 행사도 많은 이 가을에..
과연 숙제를 잘 마칠 수 있을는지..
아자 아자 홧팅!!
08:30 덕산재<644m>
가족 같은 단촐<13명>한 식구
그래도 산토대에서는 한 분도 없는 여성 회원님이 세분씩이나 계시고..
차는 경부고속도로 김천 휴게소에 잠시 휴식을 취한 뒤
산행기점인 덕산재에 도착한다.
덕산재는 김천시와 무주군을 연결하는
30번 국도가 통과하는 지점으로
영호남의 관문이지만 차량 통행은 한산한 것 같다.
오늘 여정은 우측 들머리 나무계단을 올라
부항령을 지나 백수리산과 삼도봉을 경유하여
삼마골재에서 우측 해인리로 하산하는
북진 코스로 경북, 전북, 충북의 3개도를 통과한다.
잠시 사면을 타고 오르면 첫 이정표를 만난다.
여기서 좌측 내리막길로 접어들어
전망대와 벤치가 설치된 쉼터에서 잠시 숨을 고른다.
다시 부지런히 오르내리며 선황당재에 내려선 다음
가파른 오르막 길을 치고 오르니 833봉에 올라선다.
오늘 구간 내내 이런 오르 내림이 수도 없이 반복된다.
건너편으로 대덕산과 삼도봉이
손에 잡힐 듯 다가오고
덕유산의 백색 슬로프가 선명하게 눈에 들어온다.
10:15 부항령<660m>
다시 855봉을 지나 헬기장을 거쳐 부항령에 내려선다.
부항령은 김천시 부항면과 무주군 무풍면을 잇는
백두대간 고개 중 경상도와 전라도를 잇는 최북단 고개이다.
삼국시대 당시
분수령 서쪽의 무풍 고을이 신라에 속할 때
남쪽의 덕산재 소사고개등과 변경을 잇는 주요 통로였다.
부항령 아래에는
김천과 전북 무주를 이어주는 삼도봉 터널이 지나간다.
오늘 구간은 곳곳에
선명한 이정표와 함께 쉬어갈 수 있는 나무의자가 잘 설치되어 있어
산꾼들의 편의성은 국립공원 못지않다.
다시 백수리산을 향한 가파른 오르막이 시작된다.
부항령에서 조금 오르면
우측으로 1030봉을 우회하는 지름길을 이용한다.
가도 가도 끝나지 않는 오르막을 쉼 없이 올라간다.
숨이 턱밑까지 차오름을 느끼며 967봉에 올라서니
맞은편으로 백수리산이 보이고, 멀리 석기봉과 삼도봉이 조망된다.
다시 급경사 길을 내려선 다음
마지막 오르막을 올라 백수리산 정상에 올라선다.
11:10 백수리산<1,034m>
정상에는 헬기장이 있고 주위 조망이 시원스럽다.
진행 방향으로
1170봉에 이어 우측으로 석기봉(뽀족한 봉), 삼도봉이
아스라이 조망이 되고 뒤돌아 보면 전 회차 지나온
대덕산과 그 아래 들머리 덕산재가 한눈에 들어온다.
백수리산을 내려서니
지금까지 보이지 않던 산죽 군락이 조금씩 보이고
다시 고도를 높여 오르막을 치고 오른다.
마루금 주변
적당한 장소를 골라 중식을 해결하고
다시 싸리재 갈림길에 이어
지도상에 표시된 1170고지로 보이는 봉우리에 올라선다.
삼도봉과 함께 석기봉, 민주지산이 더욱 가까이 다가온다.
다시 가파른 내리막을 내려가니 임도를 통과한다.
14:11 해인상장 갈림길
백수리산을 지나 약 3시간여 몇 개의 봉우리를 오르내린 후
드디어 삼도봉 아래
해인리로 내려가는 갈림길에 내려선다.
삼도봉이 500m 거리로 지척으로 올려다 보이고
우측으로 내려가면 해인 산장으로 내려가는 길이다.
잠시 숨을 돌린 후
오늘의 최종 목적지 삼도봉을 향해 발걸음을 옮긴다.
삼도봉은 많은 산꾼들이 찾는 관계로 등로가 양호하다.
14:36 삼도봉<1,176m>
해인산장 갈림길에서 약 10분쯤 오르니
드디어 시야에 까만 오석으로 만든 구형(球形)의 조형물이 보이고
이어 삼도봉 정상에 도착한다.
삼도를 상징하는 용 세 마리가
각도(各道)를 향해
여의주를 물고 있는 화강암 조형물이 이색적이다.
삼도봉은 신라와 백제의 경계를 이루었던 곳으로써
원래는 화전봉이었는데
조선 태종 때인 1414년에 조선을 8도로 나누면서
이곳이 전라북도, 충청북도,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룸으로써
삼도봉으로 불리었다고 한다.
지나온 마루금이 한눈에 조망이 되며
대간 마루금에서 비켜나 있는
석기봉과 멀리 우측으로 민주지산이 선명하게 다가온다.
14:59 삼마골재
삼도봉을 뒤로하고 대간 날머리 삼마골재로 내려선다.
삼마골재는 일제시대때부터
화전민들이 정착해 숯을 구워 팔며
정착해 오던 산막골이 삼마골로 바뀐 것이라 한다.
이곳 4거리에서 대간 마루금을 버리고
좌측으로 내려서면 충북 영동군 물한리 계곡이 나오고..
우리는 우측으로 내려서서 김천시 부항면 해인리로 향한다.
하산길이 매우 가파르며
낙엽과 세석(細石)이 쌓여 진행에 조심하여야 한다.
조심조심 임도가 있는 계곡으로 내려서면
이어 산불감시 초소와 함께 멀리 해인 산장이 보인다.
16:00 해인리 주차장
다시 시멘트 포장길을 따라 조금 내려오면
마을회관과 함께
정자나무가 자리 잡고 있는 날머리 주차장에 도착한다.
오늘 산행을
즐겁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동행하여 주신
산앙 첫째 셋째 토요팀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08:30 들머리 덕산재 <644m> ~

~ 전회에 왔건만 전혀 낯선 한산한 덕산재 전경 ~

~ 덕산재 이정표 ~

~ 요소마다 서있는 이정표 ~
거리 표시가 m로 되어있어 특이하다.

~ 10:15 부항령 ~


~ 11:10 백수리산 ~

~ 백수리산 정상에서 바라본 가야 할 대간 마루금 ~
가운데 1170봉에 이어 우측으로 석기봉(뾰족한봉), 삼도봉이 아스라이 조망이 된다.


~ 백수리산 정상에서 바라본 산행 들머리 덕산재 방면 ~
우측 가장 높은 봉이 전 회차 구간의 '대덕산' 그 아래가 '덕산재'이다.

~ 백수리산 정상에서 바라본 지나온 마루금 ~


~ 14:11 삼도봉 직전 해인산장 갈림길 ~

~ 14:35 삼도봉(1,177m) ~


~ 삼도봉에서 바라본 석기봉(가운데 뽀족한봉), 멀리 우측 봉예 민주지산이다.~

~ 삼도봉에서 바라본 지나온 마루금 ~

~ 삼도봉 이정표 ~

~ 14:59 삼마골재 ~


~ 15:51 산불감시초소 ~

~ 15:54 해인산장.. 대간꾼들이 숙식을 하며 쉬어가는 곳 ~

~ 16:00 해인리마을회관 ~

'☞ 산~ 따라 … > 백 두 대 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제57-17구간 (우두령~황악산~괘방령) (0) | 2023.01.24 |
---|---|
백두대간 제57-16구간(우두령~석교산<화주봉>~삼마골재) (0) | 2023.01.24 |
백두대간 제57-14구간 (신풍령~대덕산~덕산재) (1) | 2023.01.24 |
백두대간 제57-13구간 (신풍령~백암봉~동엽령) (1) | 2023.01.24 |
백두대간 제57-12구간 (동엽령~무룡산~월성재) (1)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