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제57-14구간 (신풍령~대덕산~덕산재)
◑ 언 제 : 2010 / 10 / 23 (토)
◑ 어디로 : 신풍령(빼재,920m) ~ 4.35㎞ ~ 삼봉산(1,254m) ~ 3.1㎞ ~ 소사고개 ~ 3.25㎞ ~ 삼도봉
~ 1.45㎞ ~ 대덕산(1,290m) ~ 3.05㎞ ~ 덕산재
< 신풍령(빼재) ← 대간구간(15.2㎞) → 덕산재 > ※ 접속구간 없음
◑ 얼마나 : 약 6시간 50분 정도 (휴, 점심시간 포함) / 15.2㎞ ( 접속누계 61.3㎞ / 대간누계 172.14㎞ )
◑ 누구랑 : 山仰 토요팀외 33 명 (남자25, 여자8 )
◑ 날씨는 : 맑음, 시계양호
■ 시간대별
▶ 09:40 신풍령 (920m, 빼재) → 스트레칭, 단체 인증샷
▶ 11:10 삼봉산(1,254m)
▶ 12:20 소사고개 → 점심(13:10~13:30)
▶ 14:30 삼도봉
▶ 15:15 대덕산 (1,290m)
▶ 16:30 덕산재 (산행종료)
■ 지형도

■ 위성도



■ 고도표

~ 산행기 ~
07:00 연호동
산앙 전용버스는 다른 곳으로 배치되고
가을철 관광 성수기라 대형버스를 구할 수가 없어
대간 팀에 배치된 버스는 전세 미니 버스다.
산님들을 가득 태운 미니버스는 88고속도로를 달려
거창 휴게소에서 잠시 휴식을 취한 후
무주와 거창의 경계지점 들머리 신풍령으로 향한다.
오늘 구간은 전 회차에 이어 신풍령를 들머리로 하여
삼봉산과 초점산을 거쳐 대덕산에서 덕산재로 하산하는
약 15km / 7시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09:40 신풍령<920m, 빼재>
다시 찾은 신풍령,
신풍령은 덕유산 산줄기와 삼봉산을 잇는 대간상에 위치하며
경남 거창군과 전북 무주군을 이어주는 고갯마루이다.
삼국시대 부터 각국의 접경지대라 전략적 요충지였다고 한다.
표지석에 수령(秀嶺)으로 적혀 있다,
옛날 이 고개 부근에 사냥꾼과 도적들이 많아 그들이 잡아먹은 뼈가 많아
‘뼈재’라 했는데, 경상도 사투리로 '빼재'라 불리던 곳이
'빼'를 '빼어나다'로 해석해 수(秀)자를 쓰게 되었다 한다.
신풍령 정상에서 거창 방향 100m 정도 내려오면
백두대간 안내 표지판이 나타나고
여기서 왼쪽으로 설치되어 있는 가파른 나무계단을 타고
금일 대간 길의 첫발을 내 딛는다.
약 10여분 급경사 오르막을 오르니 대간 마루금에 올라선다.
낙엽이 발목이 파묻힐 정도로 쌓여 푹신한 융단 길을 걷는 듯하다,
이런 길이 산행 내내 이어진다.
오늘은 특히
소사 고개를 들머리로 하여 덕산재로 하산하는
여성분들이 10명 가까이 게스트로 참가한 일반팀과 함께한다.
신풍령에서 약 30여분을 진행하니 삼거리 이정표가 나타난다.
직진하면 거창 방면으로 향하고
우리는 좌측으로 꺾어 삼봉산을 향해 진행한다.
11:10 삼봉산<1,254m>
삼봉산은 덕유산이 시작되는 분기점으로
정상석에는 ‘덕유 삼봉산’이라 표기되어 있다.
산경표에는 이곳부터 무룡산까지를 덕유산이라 표시되어 있다.
진행 방향 건너편으로는 우리가 가야 할
삼도봉과 대덕산의 마루금이 한눈에 들어오며
그 아래 소사마을의 전원 풍경이 아름답다.
삼봉산에서 소사마을로 내려서는 길이
급경사 너덜 길에 낙엽이 쌓여 매우 조심스럽다.
하늘을 찌를 듯이 뻗은 낙엽송 군락지를 지나니
소사마을 고랭지 경작지가 나타난다.
넓은 밭에 배추가 탐스럽게 자라고 있다.
얼마 전만 해도 배춧값이 천정부지로 올랐었는데...
여기서 엄청난 수량의 배추를 보니 새삼스럽게 보인다.
12:20 소사고개
고랭지 배추밭을 지나 소사마을을
가로지르는 1089번 지방도에 있는 소사고개에 내려선다.
고개 아래 50m 지점에 슈퍼도 있어 막걸리도 구입할 수 있다.
다시 소사 고개를 가로질러 대간 마루금을 접속 조금 오르니
우측 사면에 고급 석재를 사용 화려하게 조성한 가족묘가 보인다.
아무리 유택을 좋게 꾸민들 살아생전 효도하는 것보다 못하지 않을까.?
소사 고개까지 내려온 만큼 삼도봉을 향해 다시 올라가야 한다.
또다시 고랭지 채소 경작지가 나타나고,
낙엽송 지대를 지나 본격적인 삼도봉 오름길이 시작되기 전
우리 일행은 여기서 점심을 먹기로 한다.
여성 산님을 포함하여 6명이 꿀맛 같은 중식을 마치고
삼도봉 향해 코가 땅에 닿을 정도의 가파른 경사면을 한침을 오르니
다시 묘지가 나타나고 주위 조망이 한눈에 들어온다.
잠시 숨을 조절하여 좌측으로
완만한 경사로를 오르니 국사봉 삼거리 이정표가 나타난다.
우리는 좌회전하여 조금 진행하여 삼도봉<초점산> 정상에 올라선다.
14:30 삼도봉<1,248m>
진행 방향으로 삼도봉과 대덕산이 올려다 보이고
지나온 드넓은 고랭지 배추밭과 소사마을이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삼도봉은 경북, 경남, 전북의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일명 초점산이라고도 한다.
고개 건너편으로 대덕산이 한눈에 들어오고
정상 일대는 억새밭을 이루고 있다.
이곳에서 급경사의 내리막길로 바닥까지 뚝 떨어졌다
다시 긴 오르막이 대덕산까지 이어진다.
완만한 오르막길에는 억새풀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대덕산 바로 아래에 있는 헬기장을 지나
대덕산 정상에 올라선다.
15:15 대덕산<1,290m>
대덕산은 전라도와 경상도의 경계를 이루는 곳으로
대덕산에 대한 자세한 내력의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
옆의 대간 길 이정표는 탈색이 되어 희미하다.
정상에서 내려오는 길에는 나무계단이 잘 설치되어 있다.
조금 내려오면 우측으로 시그널들이 걸려 있고.
여기서 오른쪽으로 내리막길을 타고 덕산재로 향한다.
내리막길은 생각보다 경사가 완만하다.
말라버린 약수터를 지나면서 정말 아름다운 길을 만난다.
노랗고 빨간색으로 물들인 단풍길에
낙엽을 밟는 기분이 환상적이다.
이 기분은 약수터에서 얼음폭포까지 이어진다.
폭포를 지나 작은 능선을 20여분 오르 내리다 보니
이곳에도 잘 설치된 계단을 만날 수 있다.
이제 덕산재가 가까워 졌음을 느낀다.
16:30 덕산재<644m>
덕산재는 무주군과 김천시를 연결하는 국도로
도로를 건너 큰 화강암에 백두대간 덕산재라고 새겨져 있고
옆 공터에는 폐가로 변한 휴게소가 얼씨년스런 모습으로 방치되고 있다.
덕산재 길가에 흐드러진 코스모스가 가을임을 알려주고 있다.
하산주 한 잔에 목을 축이며
또 이렇게 대간 길 한 구간을 마치게 된다.
감사합니다..^^


~ 다시 찾은 신풍령 <빼재, 09:40> ~

~ 멀리 도로 좌측 나무계단이 들머리 ~

~ 낙엽을 밟으며 호젓한 삼봉산 가는 길 ~




~ 삼봉산 <1,254m, 11:10> ~

~ 삼봉산과 나란히 있는 또 다른 봉우리 ~

~ 삼봉산에서 바라다본
소사마을 그 뒤로 이어지는 가야 할 삼도봉과 대덕산 마루금 ~

~ 삼봉산 자락의 늦가을 단풍 ~

~ 삼봉산 아래 소사마을 고랭지 채소밭 ~

~ 고랭지 채소밭에서 뒤돌아본 삼봉산 마루금 ~

~ 소사고개 <12:20> ~..

~ 삼봉산에서 가파르게 내려왔던 마루금은
소사 고개를 거쳐 다시 삼도봉으로 가파르게 고도를 높인다. ~

~ 경작지 농로를 따라 계속 오르다 보면
대덕산 방향 이정표가 보인다. 이곳에서 우측 능선으로...~

~ 삼도봉 직전 뒤돌아본 삼봉산.. 그 아래 포근한 소사마을 ~

~ 국사봉 삼거리 ~

~ 삼도봉 <14:30> ~

~ 대덕산 직전 뒤돌아본 삼도봉 ~


~ 뒤돌아본 삼도봉...마루금 주변의 억새 군락지 ~

~ 대덕산 <1,290m> ~

~ 대덕산 하산길 나무계단 ~

~ 대덕산 산자락의 단풍 ~


~ 얼음폭포 ~


~ 산행 날머리 덕산재 <644m, 16:30> ~
~ 대덕산의 야생화 ~

~ 구절초 ~

~ 자주쓴풀 ~

~ 들국화 ~

~ 이고들빼기 ~

~ 참취 ~

~ 미역취 ~
'☞ 산~ 따라 … > 백 두 대 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제57-16구간(우두령~석교산<화주봉>~삼마골재) (0) | 2023.01.24 |
---|---|
백두대간 제57-15구간 (덕산재~삼도봉~삼마골재) (0) | 2023.01.24 |
백두대간 제57-13구간 (신풍령~백암봉~동엽령) (1) | 2023.01.24 |
백두대간 제57-12구간 (동엽령~무룡산~월성재) (1) | 2023.01.24 |
백두대간 제57-11구간 (육십령~남덕유산~월성재) (1)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