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제57-21구간 (신의터재~봉황산~비재)
◑ 언 제 : 2011 / 02 / 12 (토)
◑ 어디로 : 신의터재 ~ 4.27㎞ ~ 무지개산삼거리 ~ 4.41㎞ ~ 윤지미산(538m) ~ 1.87㎞ ~
화령재 ~ 3.26㎞ ~ 산불감시초소 ~ 1.45㎞ ~ 봉황산(740m) ~ 3.85㎞ ~ 비재
< 신의터재 ← 대간구간 (19.11㎞) → 비재 > ※ 접속구간 없음
◑ 알마나 : 약 7시간 정도 (휴, 중식시간 포함) / 19.11㎞ ( 대간누계 211.10㎞ )
◑ 누구랑 : 山仰 토요팀외 23명
◑ 날씨는 : 맑음 . 시계 80%
■ 산행코스 및 시간
▶ 07:00 연호동 → 중부내륙 고속도로 → 선산 휴게소(08:20)
▶ 09:30 신의터재 (들머리) → stretching → 단체 인증샷
▶ 10:40 무지개산 → 무지개산은 마루금에서 우측방향으로 살짝 벗어나 있음 (10분정도)
▶ 11:45 윤지미산(538m) → 중식(12:30~12:40) 윤지미산 지나 마루금옆 묘지에서
▶ 13:07 화령재 → 대간팀외 참가자 이곳에서 산행종료 버스로 비재이동
▶ 14:40 봉황산(615m) 정상 → 오름길이 상당히 가파름, 비재까지 아이젠 착용
▶ 16:31 비재 (날머리) → 하산주 → 후미도착(17:30) → 대구출발(17:35)
■ 지형도

■ 위성도


■ 고도표

■ 산행기
07:00 연호동
유난히 추웠던 올 겨울도
입춘을 고비로 동장군의 기세가 한풀 꺾이는 듯
연호동의 아침 공기가 조금은 풀리는 듯한 느낌이다.
버스는 중부내륙고속도로 진입하여 선산휴게소에 도착
커피 한 잔으로 잠시 휴식을 취한 후
상주시 화동면과 모서면을 연결하는 49번 지방 도로인
신의터재에 도착한다.
09:30 신의터재<들머리>
다시 찾은 신의터재는
임란 이전에는 신은현(新恩峴)이라 불렀고
임란 때 의병대장 김준신(金俊臣)이 이 재에서 의병을 모아 싸우다
순절이후 신의터재라 불리게 되었다 한다.
추위는 한풀 수그러 들었으나 그래도
고도 280m 신의터재는 한겨울 추위가 맹위를 떨치고 있다.
간단한 스트레칭을 한 후 무지개산을 향하여 출발한다.
시멘트 포장 농로를 따라 조금 가다 보면
곧바로 대간 안내 표지판이 있는 오른쪽 산행로로 접어든다.
나지막한 구릉지대를 따라 산행은 이어지며,
왼쪽으로는 화동면 선교리 마을이 나뭇가지 사이로 내려다보인다.
잠시 후 "서어나무 군락지"를 지나고 다시 임도에 내려선다.
임도를 건너 다시 산행로를 타고 약간 올라서면
이번에는 “노간주나무 군락지” 이정표를 지난다.
10:40 무지개산<441m>
다시 작은 안부를 지나 약간의 오르막을 치고 올라서니
무지개산 삼거리<10:30>가 나온다.
대간 길은 왼쪽이고
무지개산은 우측으로 마루금을 살짝 비켜 10분 정도 거리에 있다.
정상에는 잡목에 둘러싸여 조망도 없으며 아무런 주변 볼거리도 없어 그냥 지나침만 못하다.
다시 갈림길로 내려와 마루금을 따라 윤지미산으로 향한다.
왼편으로 잣나무 숲 조림지를 만난다.
벌목을 한 나무둥치에 윤지미산 1시간(쉼터) 힘내세요
누군가 매직펜으로 흔적을 남겨두었다.
오른쪽 멀리 중부내륙 고속도로가 눈에 들어오고 좌측 멀리는 판곡 저수지가 보인다.
11:45 윤지미산<538m>
드디어 윤지미산에 올라선다.
북쪽으로는
상주 청원간 고속도로가 가로질러 달리고 있다.
12:30~12:40 중식
윤지미산을 내려서는 길은 급경사다.
경사가 끝나자 왼편으로 검은 그늘막의 인삼재배 단지가 보인다.
밭가를 지나는 등산로가 녹아 질퍽인다.
얕은 숲길로 들어서며 왼편에 따뜻한 묘지를 만나
잠시 점심을 해결한다.
식사 후 다시 화령재를 향하여
오른쪽으로는 고속도로를 내려다 보면서 평탄한 산길을 진행한다.
멀리 진행 방향 좌측으로
봉황산으로 어림되는 봉우리가 우뚝 솟아 있고
화서면 신본리 마을로 보이는 민가가 어렴풋이 시야에 들어온다.
상주-청원 고속도로가 지나가는 화서 2터널 위에 올라선다.
시원스레 뚫린 고속도로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며,
차량들이 질주를 한다.
임도에 내려선 후 조금 더 진행 도로로 내려서면
건너편에 대형 백두대간 화령재 이정표가 보이며
송대장님께서 반갑게 맞이한다.
13:07 화령재
화령재는 상주시 내서면과 화서면을
잇는 25번 국도가 지나가는 고갯마루이다.
정상엔 표석이 있고 넓은 주차장과 화령재 정자가 있다.
이곳 지명은 고려시대 화령현(化寧縣)에서 유래한 것으로
행정구역 상은 화서면이지만
이 지역 사람들에게는 화령으로 더 알려져 있다.
육이오 전쟁 시에는 화령장 전투로도 유명한 곳이다.
지대가 250~400m 정도의 비교적 높은 고원으로서
추풍령까지 이어지는 이 지역을 중화지구대라고 부른다.
일교차가 심해 채소, 과수농사가 잘 되는 지역이다.
일일 산행 참가자들은 이곳 화령재에서
산행을 마치고 버스로 날머리 비재까지 이동한다고 한다.
이곳에서 잠시 한숨을 돌린 후
우리 대간팀은 다시 봉황산을 향해 출발한다.
도로를 따라가다
문장대로 향하는 49번 지방도 삼거리를 지나
다시 좌측 들머리로 올라서니 송림 속으로 마루금이이 이어진다.
봉황산 초입은 여전히 완만한 코스로서
잔설이 쌓여있는 대간 길을 여유 있게 진행한다.
멀리 우뚝 솟은 봉황산을 바라보며 조금씩 고도를 높인다.
산불 감시초소가 나오고 초소 우측으로 하여 계속 진행한다.
정상이 가까워질수록 산발적으로 쌓인 눈에 발목이 빠지며
오르막이 점점 가팔라 진다.
14:40 봉황산<740m>
마지막 기력을 다해
몇 구비 돌아 오르니 드디어 봉황산 정상에 올라선다.
영주 부석사 뒷산인 봉황산이 하도 유명하여
이곳의 봉황산은 대간꾼 이외 널리 알려져 있지 않으나
주변 사람들은 많이 찾는다고 한다.
봉황산은 중화지구 화령 북쪽에 우뚝 솟아있는 산으로
봉황새가 이 산에 날아들어 살았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정상에서 일행들과 함께 잠시 휴식을 취한 후
날머리 비재로 내려선다.
정상 바로 아래에는 암릉으로 왼쪽 급경사길로 우회하여 이어진다.
봉황산에서 비재까지는 약 2시간 소요,
오르 내림이 반복되는 지루한 능선 산행이다.
마지막 급경사 길을 내려간 후
비재가 내려다보일 즈음 마루금 주변에는
쭉쭉 뻗은 낙엽송과 잣나무가 군락을 이루어 하늘을 찌르고 있다.
16:31 비재<날머리>
비재는 장자동과 동관리 사이를 잇는 고개로서
모양새가 '새'같아서 '비조'(飛鳥재), 혹은 '비조령'으로 부르던 고개이다.
차량 통행이 거의 없는 한적한 산골 아스팔트 포장도로이다.
좌측으로 다음 구간<57-22구간>인
속리산으로 향하는 들머리로 경사가 심한 파란 철계단이 보인다.
하산주 막걸리 한 잔으로 목을 축이고
후미 그룹 도착과 함께 차는 대구로 향한다.
감사합니다.


~ 들머리 신의터재 ~

~ 화동면 선교리 마을전경 ~

~ 서어나무 군락지 ~
생소한 이름의 서어나무는 서쪽에 있는 나무란 뜻이며 강원도 이남 산지에서 자생하는 낙엽수로
주로 표고버섯 재배용, 땔감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 임도가 나오고 임도에서 우측 화살표 방향으로 지능선에 올라선다. ~

~ 노간주나무 군락지 ~

~ 무지개산 갈림길 ~

~ 무지개산 <441m, 10:40> ~

~ 잣나무 조림지 ~

~ 힘내세요, 윤지미산 1시간...~

~ 윤지미산 오름길 ~

~ 청원~상주간 고속도로 ~


~ 윤지미산 <538m, 11:45> ~

~ 화령재 가는 길 인삼밭 ~

~ 터널 위에서 바라본 상주 하송리 ~
~ 화령재 <13:07> ~
~ 화령재 정자 ~
~ 화령재에서 봉황산 들머리 ~
~ 봉황산 오름길에서... 화서면 전경 ~
~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는 봉황산 ~
~ 산불 감시초소 ~
~ 봉황산이 손에 잡힐 듯 가까이 다가온다. ~
~ 봉황산 <740m, 14:40> ~
~ 봉황산에서 비재 가는 마루금 ~.. 아이젠을 착용한다. ~
~ 잣나무 군락지 ~
~ 날머리 비재 <330m, 16:31> ~
'☞ 산~ 따라 … > 백 두 대 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제57-23구간 (밤티재~문장대~속리산천왕봉) (1) | 2023.01.25 |
---|---|
백두대간 제57-22구간 (비재~형제봉~속리산천왕봉) (0) | 2023.01.25 |
백두대간 제57-20구간 (회룡재~백학산~신의터재) (0) | 2023.01.25 |
백두대간 제57-19구간 (작점고개~국수봉~회룡재) (1) | 2023.01.25 |
백두대간 제57-18구간 (괘방령~눌의산~작점고개) (1) | 2023.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