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제57-20구간 (회룡재~백학산~신의터재)
◑ 언 제 : 2011 / 01 / 22 (토)
◑ 어디로 : 회룡마을 ~ 0.5㎞ ~ 회룡재 ~ 7.9㎞ ~ 백학산(615m) ~ 4.7㎞ ~ 개머리재 ~ 2.7㎞ ~
지기재 ~ 4.55㎞ ~ 신의터재
< 회룡마을 ← 접속구간(0.5㎞) → 회룡재 ← 대간구간(19.85㎞) → 신의터재 >
◑ 얼마나 : 약 7시간 10분 정도 (휴, 중식시간 포함) / 20.35㎞ ( 접속누계61.8㎞ / 대간누계 191.99㎞ )
◑ 누구랑 : 山仰 토요팀외 29명 (남자28, 여자1 )
◑ 날씨는 : 강추위 다소 풀림, 박무, 조망보통
■ 시간대별
▶ 09:30 회룡마을 <들머리>
▶ 10:05 회룡재 <대간 마루금 접속>
▶ 10:30 개터재
▶ 11:45 윗왕실재
▶ 12:45 백학산(615m) 정상 → 중식(12:50~13:10) → 대포리 임도
▶ 14:35 개머리재
▶ 15:25 지기재
▶ 16:40 신의터재 <날머리>
■ 지형도

■ 위성도

■ 고도표

~ 산행기 ~
07:00 연호동
날씨가 생각보다는 포근하다.
버스는 경부고속도로를 달려 김천휴게소에 잠시 휴식을 취한 후
추풍령I.C에서 내려 회룡마을로 향한다.
09:30 회룡마을<들머리>
전 지역을 떠들썩하게 했던
구제역이 진정되어 가는지 요즘은 잠잠한 것 같다.
지금은 통제는 하지 않지만
그래도 회룡마을 분위기가 침체된 기분이다.
멀리 축사가 보이는 마을을 빠르게 통과한다.
10:05 회룡재<대간마루금접속>
마을을 벗어나 회룡재로 향하는 들머리를 찾지 못해
약 30분 가까이 알바 후 가까스로 회룡재에 도착한다.
회룡재는 상주시 공성면 봉산2리 회룡마을에서
봉산1리 공가실로 이어지는 고갯마루이다.
마을 뒤 회룡산이 용의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오늘 구간의 특색은 대간 마루금이 나지막하게 이어지는 관계로
넘나드는 재가 유독 많다는 것이다.
이름도 독특한 회룡재, 개터재, 윗왕실재, 개머리재, 지기재, 신의터재 등
스트레칭은 알바로 대신하고 단체 기념샷 후
바로 좌측 돌계단을 올라 백학산을 향한 첫 발걸음을 옮긴다.
나지막한 마루금 따라
마을과 경작지, 농로 및 작은 재를 번갈아 오르내리며 진행한다.
10:30 개터재
회룡재에서 나지막한 마루금 따라 30분이면 도착한다.
일명 효곡재 또는 봉산재라고도 하며
개의 머리를 닮았다 하여 생긴 이름이라 한다.
이곳 대간 길 곳곳에는 튼튼한 나무 기둥에 흰 바탕에
검은 글씨로 백두대간임을 알리는 이정표를 설치해 놓았다.
11:45 윗왕실재
좌측 나뭇가지 사이로 효곡리가 내려 보이는 가운데
군데군데 쌓인 잔설을 밟으며
송림 사이를 진행 윗왕실재에 내려선다.
효곡리와 외남면을 이어주는 한적한 시골길로서,
도로 위로는 동물 이동을 위한 다리가 놓여 있다.
왕실이란 사방으로 산이 빙 둘러싸여 있어
마치 임금이사는 구중궁궐처럼 보인다 하여 붙혀진 이름이다.
이곳에서 백학산까지 1시간 구간이다.
잠시 한숨 돌리며 전방을 올려다보니
좌측으로 연이어 봉오리가 보이고 멀리 백학산 정상이 어림된다.
오르막을 타고 올라 오른쪽으로 진행하여
안부에 내려선 후 다시 가파른 오르막이 시작된다.
거친 숨을 몰아쉬면서 능선 길에 올라선 다음
계속하여 눈밭을 헤치며 마루금을 몇 번을 돌고 돌아
백학산 정상에 도착한다.
12:45 백학산<615m>
백학산은 일명 장자봉이라고도 하며
산이 하얗게 덮을 정도로
백학이 날아드는 형국의 지형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단체로 인증샷을 한 다음 점심 식사를 이곳에서 하기로 한다.
중식이 끝나갈 무렵 조금 흐린 하늘에서 아주 가늘게
눈이 내리더니 잠시 후 멈춘다.
정상에서 가파른 능선을 타고 내려서면
대포리로 향하는 임도가 나타난다.
임도를 따라 100여 미터 내려가다 다시 좌측으로 진입하여
가파른 오르막을 올라 우측 사면을 따라 진행한다.
다시 능선으로 올라서서 완만한 내리막을 진행하면
임도가 나타나고 전방 아래 수확이 끝난
인삼밭으로 보이는 농장이 시야에 들어온다.
인삼밭을 지나 좌우로 농장을 끼고 계속 진행하면
포도밭에 이어 아스팔트 포장도로가 나타나고
드디어 개머리재에 도착한다.
14:35 개머리재
개머리재는 일명 소정재라고도 하며
원래는 개머리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것이라고는 하나 개머리 모양의 지형은 없다.
주변 구릉지에는 포도밭이 많으며,
관수시설과 살수시설, 비가림 장치등이 잘 되어 있다.
개머리재에서 다시 지기재를 향한다.
임도와 능선을 번갈아 진행하며 완만한 오르막에 이어
가파른 내리막은 북쪽 사면이라 잔설로 인해 매우 미끄럽다.
조심해서 천천히 하산하니 다시 좌우로 넓은 포도밭과 함께
901번 지방도인 아스팔트 포장도로가 나타나고
이정표에는 지기재라 표시되어 있다.
15:25 지기재
지기재는 이 부근에 도둑이 많아 적기재라 부르다가
세월이 흘러 지기재가 되었다
901번 지방도가 지나는 해발 260m의 고갯마루이다.
이곳 또한 금강과 낙동강의 분수령이라는 표지판이 있다.
또한 모서면 "상주고랭지포도" 안내판이 방문객을 환영해 주고 있다.
이곳 포도는 당도도 높고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고 한다.
로를 가로질러 농로를 지나 또다시 오른쪽 야산으로 진입한다.
대간 길 표시가 잘되어 있다. 10여 분 정도 진행하면 포장도로에 내려서고
안쑥밭골 시골마을이 보인다.
나지막한 야산을 따라 진행 후 능선 길, 포도밭, 송전철탑을 지나고
오늘의 목적지인 신의터재에 도착한다.
16:40 신의터재<날머리>
신의터재는 상주시 화동면과 내서면을 잇는 고갯마루이며
임란 이전에는 신은현(新恩峴)이라 불렀고
임란 때 의병대장 김준신(金俊臣)이 이 재에서
의병을 모아 싸우다 순절 이후 "신의터재"라 불리게 되었다 한다.
등나무 정자에서 하산주 한 잔으로 목을 축인 후
버스에 몸을 싣는다.
함께하신 분들 고생하셨습니다.

~ 회룡마을 <09:30> ~

~ 회룡재 <10:05> ~ ...


~ 개터재 <10:30> ~ ...


~ 윗왕실재 <11:45> ~

~ 도로가 지나가는 윗왕실재 동물이동 통로. ~

~ 백학산 가는 길...~

~ 백학산 정상 <615m, 12:45> ~

~ 토요팀 마스코드 호진이 父子 ~

~ 백학산에서 중식 <12:50~13:10> ~

~ 대포리 임도 ~

~ 대포리 임도 안부에서 마루금 접속 ~

~ 이정표 따라... ~

~ 화살표 따라.. ~


~ 개머리재 <14:35> ~

~ 백두대간은 허리를 낮추고 낮추어
밭과 밭 사이를 지나 지기재로 진행한다. 대간 체면이 영, ~


~ 지기재 가는 길...
낙엽송 군락지와 고랭지 포도밭 ~

~ 지기재 <15:25> ~

~ 지기재 모서면 '상주고랭지포도' 환영 입간판 ~

~ 지기재에서 마지막 날머리재 신의터재로 향한다. ~

~ 안쑥밭골이 나오고... ~

~ 안쑥밭골 도로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 슬랩 바위도 통과하고... ~


~ 날머리 신의터재 <280m, 16:40> ~

~ 하산주 ~
'☞ 산~ 따라 … > 백 두 대 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제57-22구간 (비재~형제봉~속리산천왕봉) (0) | 2023.01.25 |
---|---|
백두대간 제57-21구간 (신의터재~봉황산~비재) (0) | 2023.01.25 |
백두대간 제57-19구간 (작점고개~국수봉~회룡재) (1) | 2023.01.25 |
백두대간 제57-18구간 (괘방령~눌의산~작점고개) (1) | 2023.01.25 |
백두대간 제57-17구간 (우두령~황악산~괘방령) (0)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