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제57-55구간 (한계령~대청봉~마등령)
◑ 언 제 : 2012. 09. 08 (토) / 금요무박
◑ 어디로 : 한계령 ~ 2.33㎞ ~ 서북능선삼거리 ~ 4.05㎞ ~ 끝청 ~ 1.75㎞ ~ 대청봉 ~ 1.9㎞ ~
희운각 ~ 3.1㎞ ~ 1275봉 ~ 2.1㎞ ~ 마등령 ~ 3.8㎞ ~ 비선대 ~ 3.0㎞ ~ 설악동소공원주차장
<한계령 ← 대간구간(15.23㎞) → 마등령 ← 접속구간(6.8㎞) → 설악동주차장>
◑ 얼마나 : 약 13시간 50분 (휴, 중식시간 포함) / 22.03㎞ (접속누계 191.31㎞ / 대간누계 687.09㎞)
◑ 누구랑 : KJ 1기 대간팀 외 41명<산토대 7명>
◑ 날씨는 : 비,<끝청까지 세차게 뿌리다 이후 오락가락, 마등령 이후 그침>
■ 시간대별
▶ 02:27 한계령 <들머리> → 03 :51 서북능선 갈림길 → 05:02 한계령3.6㎞지점
▶ 06:13 끝청<1.604m>
▶ 06:46 중청 대피소
▶ 07:08 대청봉<1,707m> → 07:25~07:40 조식<중청 대피소>
▶ 08:11 소청
▶ 09:06 희운각 대피소
▶ 11:13 공룡능선1275봉 → 12:20 나한봉
▶ 12:57 마등령<대간 마루금 종료> → 13:15 중식 → 13:30 공룡능선 전망대
▶ 15:27 비선대
▶ 16:15 설악 소공원 주차장<날머리>
■ 개념도


■ 위성도

■ 고도표

■ 산행기

~ 다시 찾은 비 내리는 한계령 시계는 02시 27분이다. ~
대구에서 저녁 9시에 출발 차 안에서 토막잠을 자며 5시간을 넘게 달려온 한계령
바람과 함께 비가 세차게 뿌리고 있다.
한계령 입산은 새벽 3시부터 가능하다.
그러나 문이 열려 있어 조금 일찍 출발한다. 산꾼이라곤 우리밖에 없는 것 같다.

~ 한계령 초입 ~
세찬 비바람에 날씨가 제법 쌀쌀하다..
그러나 이곳부터 약 1시간 정도는 가파르게 고도를 높이고 서북능선 오르기 전까지는
춥지 않을 거라는 선답자의 충고에 따라 복장은 가볍게 하고 출발한다.
108계단 들머리에서 조금 오르면 탐방지원센터로 바뀐 예전 매표소가 나온다.

~ 서북능선<귀때기청봉> 갈림길 <03:51> ~
한계령에서 이곳 갈림길까지 급경사 오르막길로 이어진다.
왼쪽으로 가면 귀때기청봉으로 가는 마루금이고.. 백두대간 길은 오른쪽 대청봉 방향이다.


~ 칠흑 같은 어둠 ~
헤드랜턴 불빛도 빗물에 가려 흐릿하고 길은 너덜 길이라 매우 위험하다.
아무도 말이 없다.
사방은 고요하고 앞서가는 일행들의 거친 숨소리만이 귓가에 스친다.

귀때기청봉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휘어진 마루금은
바위투성이의 험한 너덜 길을 오르내리며 서서히 마루금을 높여 서부 능선에 올라선다.
지금까지 와는 달리 추위가 엄습한다.

~ 끝청 <06:13> ~
서부능선 막바지에서 가파르게 오르막을 치고 오르면 끝청에 닿는다.
줄기차게 내리던 비는 가랑비로 바뀌었지만..
주위는 온통 운무로 휩싸여 기대했던 설악의 조망은 없다.

~ 끝청에서의 조망을 사진으로만 보고... ~
언젠가 다녀간 눈에 익은 좌로부터 가리봉, 주걱봉, 귀때기청봉
그리고 일망무제 서부능선..

~ 중청대피소 <06:46> ~
지금껏 한산하던 대간 마루금... 그래도 중청대피소에는 제법 산꾼들로 붐빈다.
원래 대간 마루금은 대청봉에서 희운각으로 흘러내리는 능선을 타야 하지만
그 길은 자연휴식년제로
부득이 대청봉을 올랐다가 다시 돌아 나와 이곳으로 와야 하기 때문
대청봉을 포기하고 바로 희운각으로 향하는 일행도 많다.
그래도 여기까지 와서 그냥 갈 수야....


~ 大靑峰, 1,707m <07:08> ~
올 때마다 북새통을 이루던 대청봉이 이렇게 조용할 수가..
대청봉은 남한에서 한라산<1,950m>,지리산<1,915m>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산이다.
눈잣나무가 융단처럼 낮게 자라 군락을 이루고 있어
국립공원 전체와 동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지만 운무 때문 지척도 분간하기 어렵다.

~ 요산요수<樂山樂水>... ~
'락산동수'라 했다간 하급서당 출신이라는 핀잔 듣기 딱 알맞다.
지금의 정상석이 있기 전 이곳 대청봉을 지키던 오리지널 정상석이다.


~ 눈잣나무 또는 누운잣나무 ~

~ 대청봉에서 다시 중청을 거쳐 소청으로 내려선다. <08:11> ~

~ 잘 정비된 희운각 내려가는 가파른 등로.. 옛날에는 참 고생했는데... ~

~ 喜雲閣 대피소 <09:06> ~
라면도 팔고 식수도 보충할 수 있다.
당초 이곳에서 조식을 하기로 했으나 시간이 지연되어 중청에서 아침을 먹었기 때문
잠시 휴식만 취한 후 공룡능선으로 향한다.

~ 무너미 고개 <1,020m> ~
무너미 고개는 천불동 계곡과 가야동 계곡의 경계에 위치하여
내외 설악을 구분 짓는 경계 지점이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가면 천불동 계곡을 타고 양폭대피소를 거쳐 설악동으로 내려선다...
대간 마루금은 직진으로 공룡능선을 거쳐 마등령으로 향한다..
천불동 계곡으로 내려가는 일반 산꾼들이 부러워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 이제부터 공룡능선에 들어선다 ~
공룡능선은 희운각에서 마등령까지 5.2㎞ 구간을 말하며 그 생긴 모습이
공룡이 용솟음치는 것처럼 힘차고 장쾌하게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설악을 거쳐가는 백두대간의 등줄기인 이 능선을 경계로 동쪽 지역을 내설악이라 부른다.

~ 신선이 노닐었다는 신선대..
첫 봉부터 산꾼들을 압도한다. ~


~ 신선대 전망대 ~
이곳에서 대청부터 서북능선 안산까지 조망이 되지만 운무 때문 아쉽기 그지없다.
공룡능선은 날씨만 좋다면
진행 방향 기준 뒤쪽으로는 대청봉과 소청봉 오른쪽으로는 화채능선,
왼쪽으로는 내 설악의 깊은 맛, 용아장성, 귀때기청봉의 일망무제 서북능선이 한눈에 조망되며
공룡의 최고봉 1275봉과 범봉, 나한봉, 피라미드 같은 삼각봉과 기이한 첨봉들이
즐비하게 솟아있는 최고의 능선이다.

~ 신선대 전망대에서 바라본 용아장성 ~
진행 방향 좌측으로 공룡능선과 함께
설악의 대표적인 암봉 능선인 용아장<龍牙長城>성의 이 희미하게 보인다.
그 너머가 서북능선이지만 운무에 가리어져 있다.
바로 앞 계곡이
희운각 대피소에서 수렴동 대피소로 이어지는 가야동 계곡이다.
공룡능선과 용아장성 사이에 깊게 형성된 유순한 계곡으로
설악산의 여러 계곡 중 가장 세련미가 있다.

~ 신선대 전망대에서 바라본 공룡능선의 최고봉 1275봉 ~



~ 줌으로 당겨본 범봉 ~

~ 공룡능선의 대표적 첨봉들 ~

~ 점점 가까워지는 1275봉 ~






~ 설악의 미인송 ~

~ 1275봉 오르는 가파른 암릉구간... 힘이 든다. ~

~ 좁은 등로 우측으로 송곳 같은 선바위가 보인다. ~

~ 1275봉 <11:13> ...~
1275 봉에 오르고 보니 멀리서 보았던 모습과는 달리 끝이 보이지 않는 첨봉 사이
공터에 이정표만 자리 잡고 있다. 1275봉은 이정표 맞은편에 있는 암봉이다.
넓은 공터가 있어 잠시 쉬어간다.

~ 마지막 첨봉 나한봉 오름길 ~

~ 영차영차..나한봉을 향해 .. 이소장 ~


~ 나한봉 ~
지척인 것 같은 나한봉이지만, 1275봉을 내려와 무명봉을 거쳐 나한봉까지 오르는데
1시간 이상 소요된다. 공룡의 끝자락 나한봉을 내려서면 마등령이다.
공룡을 타고 오르내리던 내내
오락가락하던 비는 공룡의 끄트머리 나한봉에서 서서히 그쳐 가는 것 같다.

~ 마등령 삼거리 ~
오늘은 비선대를 거쳐 설악동으로 하산 하지만 다음은 오세암으로 하산 예정이다.
이곳에서 다시 마등령을 향해 오른다.

~ 마등령 정상 <1,327m, 12:57> ~
이곳을 마등령 정상이라 표시되어 있지만
실제 마등령 정상은 출입금지 표지판 뒤로 약 20여분 더 올라가야 한다.
마등령은 내설악과 외설악을 구분하는 봉우리이며
영동과 영서를 이어주는 옛길 중에 하나이다
미시령 출입금지 안내 표지판이 있으며 우측으로 금강굴, 비선대로 내려가는 철계단이 있다.

~ 비탐구간 안내표시판 ~
다음 구간 마등령 마루금이 안내표시판 뒤로 이어진다
과태료 붉은 글씨가 눈에 확 들어온다. 그러나 어찌 하리오...
아니 온 듯 다녀 가리다.

~ 대간 길은 이곳 마등령까지..
대간 마루금을 버리고 우측 철계단을 따라 비선대로 하산한다. ~
~ 접속구간 마등령에서 비선대 하산길..외설악의 비경 ~


~ 범봉<우중앙 높은 봉> 좌측 멀리 뾰족한 봉은 화채봉이다.. ~

~ 첨봉군락 천화대의 절경 ~

~ 마등령에서 비선대로 뻗어 내린 능선...
엄지처럼 우뚝 솟은 암봉이 세존봉이다. ~

~ 진행 방향 좌측으로
능선 위에 왕관처럼 떡 자리 잡은 울산바위 ~

~ 무슨 폭포일까? ~

~ 유선대 ~
사진 중앙 우뚝 솟은 봉이 유선대다.
천상의 선녀들이 설악의 아름다운 경치를 즐기다가 유선대 정상에서 하늘로 올라갔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릿지를 즐기는 산꾼들 ~




~ 내려선 비선대..
마등령, 천불동이 이곳에서 갈라진다. ~


~ 비선대 <15:27> ~


~ 스틱을 접은 설악동 신흥사 ~

~ 권금성 ~
누구나 젊은 시절 설악에 오면 애들과 함께 한 범쯤은 오른 기억이 있는 권금성
이 시간에도 케이블카는
오손도손 손을 잡은 행복한 누군가를 태우고 권금성으로 오르고 있겠지..
설악소공원주차장 <16:15> → 버스이동 → C지구상가 <산행종료>
~ 설악산 9월의 야생화 ~

~ 곤드레 ~

~ 이질풀 ~

~ 참취 ~

~ 흰불봉선 ~

~ 달맞이꽃 ~

~ 황금마타리 ~

~ 뚝갈 ~

~ 새며느리발톱 ~

~ 닭의장풀 ~

~ 어수리 ~

~ 산구절초 ~

~ 투구꽃 ~

~ 초용담 ~
'☞ 산~ 따라 … > 백 두 대 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제57-57구간 (미시령~신선봉~진부령) (2) | 2023.02.03 |
---|---|
백두대간 제57-56구간 (미시령~황철봉~마등령) (0) | 2023.02.03 |
백두대간 제57-54구간 (한계령~점봉산~단목령) (0) | 2023.02.03 |
백두대간 제57-53구간 (조침령~북암령~단목령) (0) | 2023.02.03 |
백두대간 제57-52구간 (구룡령~갈전곡봉~조침령) (0) | 2023.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