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제57-10구간 (육십령~백운산~중고개재)
♣ 언 제 : 2010 / 08 / 28 (토)
♣ 어디로 : 육십령(690m) ~ 3.07㎞ ~ 깃대봉(1,015m) ~ 3.6㎞ ~ 977봉 ~ 4.6㎞ ~ 영취산(1,076m)
~ 3.45㎞ 백운산(1,278m) ~ 2.55㎞ ~ 중고개재(730m) ~ 1.16㎞ ~ 지지리
< 육십령 ← 대간구간(17.27㎞) → 중고개재 ← 접속구간(1.1㎞) → 지지리 >
♣ 얼마나 : 약 7시간 10분 (휴, 중식시간 포함) / 18.37㎞ ( 접속누계44.7㎞ / 대간누계 124.26㎞ )
♣ 누구랑 : 山仰 토요팀외 28 명(남자24, 여자4 )
♣ 날씨는 : 출발 후 5분 정도 소나기, 가랑비 종일 오락가락
■ 시간대별
▶ 09:40 육십령 → 폭우로 약 15분 대기
▶ 10:36 깃대봉 샘터 → 억새 군락지
▶ 10:46 구시봉(깃대봉) → 북바위(11:41) → (중식)
▶ 13:14 덕운봉
▶ 13:58 영취산 → 선바위 고개(14:05)
▶ 15:21 백운산
▶ 16:26 중고개재 <대간날머리>
▶ 16:50 지지리 <산행종료> → 대구출발(17:45)
■ 지형도


■ 위성도


■ 고도표

~ 山行記 ~
06:00 연호동
지리산권을 벗어나 덕유산권으로 접어드는 첫 산행이다.
88고속도로 함양 JC에서 중부고속을 경유 서상 IC에서 내려
26번 국도를 타고 육십령에 도착한다.
오늘은 육십령에서 백운산과 영취산을 경유하여
중고개재에서 지지리로 하산하는
약 18km / 7시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09:40 육십령
대간마다 지겹도록 찾아오는 비는
오늘도 어김없이 거창을 지나면서부터 비가 내리기 시작하여
육십령에 도착하자 폭우가 쏟아지기 시작한다.
화장실 처마 아래에서 비가 잦아지길 기다리는
나를 비롯한 회원님들의 모습이 이렇게 처량할 수가 없다
그러나 대간은 비가 와도 눈이 와도 가야 한다.
세찬 빗방울은 좀처럼 그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회원 한 명이 선두그룹으로 나서자 모두가 뒤를 따라
땅에 떨어진 백두대간 이정표를 밟고 화장실 좌측 오르막을 오른다.
절개지를 오르듯 가파르게 올라 능선 길 마루금에 올라서자
출발과 함께 쏟아지든 빗줄기는 많이 가늘어지고
사방은 운무로 가득하다.
10:36 샘터
잠시 후 능선 아래에서 좌측으로 꺾어
맨발 지압 등산로라는 안내판을 지나 조금 오르면
깃대봉 샘터가 나온다.
대간을 종주하면서 이처럼 등산로 바로 옆에
샘터가 있는 곳도 흔치 않다.
누군가 관리하고 있는 듯 깨끗한 샘터 옆에는
오석으로 된 표지판에 한 편의 詩가 새겨져 있다.
약수터에서 목을 추기는 길손이시여!
사랑하나 풀어 던진 약수에는 바람으로 일렁이는
그대 넋두리가 한 가닥 그리움으로 솟아나고 .....
우리는 한 모금의 약수에서 구원함이 산임을 인식합시다.
우리는 한 모금의 약수에서 여유로운 벗이 산임을 인식합시다.
샘물로 목을 축인 후 계속 오르막을 오르니
야생화와 함께 한 폭의 그림이 펼쳐지는 억 세 군락지가 나타난다.
비바람에 흔들려 춤을 추는 억새풀....
10:46 깃대봉<1,015m>
육십령에서 1시간 정도 걸려 깃대봉<구시봉>에 올라선다.
수려한 산세와 높이에 비해
등로가 부드러워 크게 힘들이지 않고 산행이 가능하다.
북으로 남덕유산, 동으로 기백산, 남으로는 백화산이 조망되나
운무 때문 짐작만 할 뿐이다.
신라와 백제가 영토 다툼을 할 때
이기는 나라가 깃대를 꽂았다고 해서 깃대봉이라고도 하고
어느 유명한 풍수가 구시처럼 생겼다 하여 구시봉이라고도 한다.
우측으로 90도 꺽어니 억새군락지 능선길이 이어진다.
비바람에 출렁이는 억새가
마치 산 전체가 움직이는 듯한 어지러움을 느낄 정도다.
계속해서 내리는 이슬비를 맞으며 억새군락지를 지나니
산죽이 길옆으로 나타나는 가운데 민령에 도착한다.
민령은 사람들의 왕래가 없는 요즘
퇴화한 고개가 되어 흔적조차 희미하다.
민영 아래에는 대전~통영 고속도로가 지나고 있다.
11:41 북바위<977m>
깃대봉에서 1시간 거리에 있는 북바위는
전라북도와 경상남도 분깃점이다.
삼국시대에 영토 다툼 지역으로 백제와 신라가 전투에 이기면
이곳에 올라 북을 쳤다고 해서 북바위라 한다.
잠시 주변을 둘러본 후 능선 길로 내려선다.
엄청난 조릿대 숲길이 우리들을 반겨준다.
식사 시간임에도 능선에서 불어오는 세찬 바람 때문
장소 찾기가 쉽지 않다.
덕운봉에도 세찬 비바람은 몰아치고
주변은 온통 비구름으로 덮여있다.
이정표에는 영취산이 2km로 표기되어 있다.
곧장 백운봉 떠난다.
영취산에 가까워질수록
마루금은 울창한 산죽 군락으로 계속 이어진다.
완만한 능선 길 영취산 가는 길은 정비가 잘 되어 있다.
13:58 영취산<1,076m>
영취산은 산세가 신령스럽고 빼어나다는 뜻이며
호남과 충남의 산줄기를 이어주는 금남 호남 정맥의 출발점이다.
남쪽으로 섬진강 서쪽으로 금강 동쪽으로 낙동강이 흐르는 분수령이다.
비 내리는 영취산 역시
시야 확보는 어려우며 인증샷만 남기고
영취산을 지나 백운산을 향한다.
잠시 후 선바위 고개에 내려서니
이정표에는 백운산 3.2km로 표기되어 있다.
지나는 마루금 좌우로는 나지막한 구름이 깔려있어
마치 구름 위를 걷는 기분이다.
한참 동안 여유로운 능선 길을 지나다 보니 암릉 구간이 나오고
막바지 가파른 오르막을 힘겹게 오르니
오늘 구간 중 최고 지점인 백운산 정상에 올라선다.
15:21 백운산<1,278m>
백운산은 흰 구름산이란 뜻이다.
같은 이름의 백운산이 전국에 30여개 있지만
이곳이 가장 높고 사방이 탁 트인 훌륭한 조망으로 유명하다.
날씨만 좋으면 주위로
덕유산 줄기와 함께 지리산 권역까지 조망이 되지만
오늘은 운무에 휩싸여 시야가 확보는 전혀 불가능하다.
백운산 정상을 뒤로하고
우측으로 내려서니 백두대간 이정표가 눈에 들어온다.
계속하여 급경사 내리막을 지나 한 시간쯤 진행
봉화산 길에서 중기 마을로 하산한 중고개재에 도착한다.
16:26 중고개재<730m>
지난번에는 이곳에서 동쪽 중기 마을로 하산했으나
이번에는 서쪽 지지계곡으로 하산한다.
길이 희미하며 잡목과 수풀이 우거져 진행을 더디게 한다.
약 20분 정도 내려가니 앞이 탁 트이며
큰 개울을 가로질러 위쪽으로 743번 지방도가 보이며
오늘 산행은 여기서 종료된다.
16:50 지지리
시원한 지지리 개울물에 땀으로 얼룩진 몸을 담그고
개울가에 설치한 대형 천막 아래서 막걸리 한 잔과 함께
오늘 산행을 마무리한다.
감사합니다.


~ 09:40 비 내리는 육십령(六十嶺) ~

~ 들머리 입구 이정표 ~



깃대봉 샘터 ~

~ 샘터를 지나 깃대봉으로 ~

~ 억새 군락지 ~


~ 10:46 구시봉 <깃대봉> ~



~ 억세군락지 ~

~ 민령(民嶺) ~

~ 북바위 이정표 ~

~ 11:41 북바위(977m) ~

~ 중식 ~

~ 덕운봉 ~

~ 13:58 영취산 ~



~ 15:21 백운산 정상 ~

~ 16:26 중고개재 ~

~ 지지계곡 ~

~ 16:50 날머리 '지지리' ~
'☞ 산~ 따라 … > 백 두 대 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제57-12구간 (동엽령~무룡산~월성재) (1) | 2023.01.24 |
---|---|
백두대간 제57-11구간 (육십령~남덕유산~월성재) (1) | 2023.01.24 |
백두대간 제57-09구간 (복성이재~봉화산~중고개재) (1) | 2023.01.23 |
백두대간 제57-08구간 (여원재~고남봉~복성이재) (0) | 2023.01.23 |
백두대간 제57-07구간 (성삼재~만복대~여원재) (1) | 2023.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