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비봉산
♣ 일 시 : 2013. 03. 01 [금]
♣ 코 스 : 청풍면 도곡리 비봉교회옆 ~ 제1봉 ~ 제2봉 ~ 비봉산 ~ 광의리 봉정사
♣ 고 도 : 531m
♣ 거 리 : 약 5.2km
♣ 시 간 : 약 2시간 40분 [휴, 중식 30분 포함]
♣ 난 도 : 초급
♣ 날 씨 : 짙은구름
~ 청풍 호반의 산 ~
비봉산은 충북 제천의 청풍호로 에워싸여 있는 이산은 사방 어느 방향에서 바라보아도 마치 한 마리의 매가 날아가는 것 같아 일명 매봉으로 불리기도 한다. 비봉산은 아직까지는 등산객의 발길이 뜸하여 원시림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정상에서의 조망은 사방이 짙푸른 청풍호로 둘러싸여 있어 마치 바다 한가운데의 섬에 오른 느낌이다. 충주호 월악산이 시야에 들어온다.
~ 위치도 ~


~ 10:16 산행기점 제천시 청풍면 도곡리 비봉교회 ~

~ 들머리부터 제법 가파른 오름길 솔밭길 따라 .. ~

~ 10:39 제1봉 찍고..~

~ 제1봉에서 올려다본 비봉산 ~

~ 잠시 안부로 내려선 후..~

~ 또다시 가파른 오름 길을 치고 올라..~

~ 10:52 제2봉에 올라선다. ~

~ 제2봉 지나 정상 오름길에서 만난 모노레일 ~
모노레일 승강장은 비봉 교회에서 양평리 방향 도로 따라 조금만 올라가면 된다.
<충북 제천시 청풍면 도곡리 114번지>
왕복요금 8,000원, 정원 6명, 속도는 거북이 수준, 정상까지 20분 소요,
성수기 때는 반드시 예약필요<043-642-3226>

~ 급경사 모노레일이 스릴감이 있어 보인다.~

~ 빤히 올려다 보이는 정상까지 급경사 오름길이다. ~


~ 11:10 비봉산 정상 <531m> ~

~ 정상에 설치된 패러글라이딩 활공장 ~

~ 이곳 비봉산 정상은 짙푸른 청풍호와 함께
주변 조망이 뛰어나지만 짙은 운무로 인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다.~

~ 정상에서 내려다본 날머리 광의리와 흐릿한 청풍호 ~


~ 정상에서 바라본 월악산 방향 ~

~ 하산은 광의리 방향으로..~

~ 편안한 숲길과 ~

~ 가파른 경사 길을 넘나들며 ~

~ 봉정사 입구 광의리 마을로 내려선다. ~

~ 봉정사 입구에서 올려다본 비봉산 ~

~ 12:25 날머리 봉정사 광의리 마을 ~
~ 귀갓길에 둘러본 靑風 文化財 團地 ~
청풍은 자연 경관이 수려하고 문물이 번성했던 곳으로 많은 문화 유적을 갖고 있었으나 충주댐 건설로 청풍면 일대 마을이 문화재와 함께 수몰될 위기에 1983년부터 수몰 지역의 문화재를 원형대로 현재 위치에 이전, 복원해 단지를 조성했다.
단지에는 고려 때 관아 청풍 한벽루(보물 528)와 청풍 석조여래입상(보물 548) 등 보물 2점과 청풍부를 드나들던 관문인 팔영루(충북유형문화재 35). 조선시대 청풍부 아문인 금남루(충북유형문화재 20) 등 건축물 및 옛 도호부 시대의 부사나 군수의 송덕비, 선정비, 열녀문, 공덕비 등이 세워져 있다.


~ 관람료 판매처 / 1인당 3.000원 ~



~ 청풍 지곡리 고가 <충북 유형문화재 제89호> ~


~ 청풍 석조 여래입상 <보물548호> ~
이 불상은 높이가 341cm이고, 전체적인 조각 양식으로 볼 때
통일신라 말기(10세기 경)의 작품으로 보인다.

~ 고인돌 & 공덕비 ~

~ 맨손으로 호랑이를 잡은 청풍 김씨 김중명 ~
<출처 매산집>


~ 청풍 한벽루 <보물 528호> ~
이 건물은 고려 충숙왕4년(1317)에 청풍현이 군으로 승격되자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관아의 부속건물로 주로 연회를 할 때 사용하였다.

~ 청풍 금병헌 <충북유형문화재 34호> ~
이곳은 청풍부의 청사로 쓰였던 동헌 건물이다. 청풍은 삼국시대에 사열이현이었으나
신라 경덕왕때 청풍현이라 하였다.

~ 금남루 <충북 유형문화재 제20호> ~
이곳은 청풍부의 아문으로 '도호부절제아문'이란 현판이 걸려있다.
순조25년(1825)에 청풍부사 조길원이 처음 세우고 현판도 걸었다.

~ 소나무 연리지 ~


~ 청풍호 선착장 & 유람선 ~

~ 청풍대교 ~

~ 그림 같은 청풍호 ~


~ 망월산성 <지방기념물 제93호> ~
망월산(336m)이 정상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내리며 남한강과 만나면서
하나의 봉우리를 만들었는데 이 봉우리 꼭대기를 깎고 둘레에 산성을 높이 쌓아 축성한
전형적인 테뫼식 산성이다.

~ 청풍 망월 산성에서 내려다본 문화재 단지 ~

~ 청풍 망월 산성에서 바라본 비봉산 ~

~ 청풍 망월 산성에서 바라본 월악산 ~
<좌측 제일 뒷능선 희미한 부분>
'☞ 산~ 따라 … > 강원충청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계족산 황톳길 [산림욕장~계족산성~계족산봉황정] (0) | 2023.03.28 |
---|---|
충주 국망산, 보련산 [둔터고개~국망산~능암온천] (0) | 2023.03.28 |
괴산 산막이 옛길 [주차장~등잔봉~천장봉] (0) | 2023.03.27 |
금산 성치산 [용덕고개~성치산~모치마을정자] (0) | 2023.03.27 |
영월 마대산 [김삿갓주차장~마대산~문학관] (0) | 2023.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