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제57-29구간 (하늘재~부봉~조령3관문)
◐ 언 제 : 2011 / 06 / 11 (토)
◐ 어디로 : 하늘재 ~ 1.82㎞ ~ 탄항산 ~ 1.75㎞ ~ 주흘산갈림길 ~ 1.5㎞ ~ 동암문 ~ 3.41㎞ ~
마패봉 ~ 0.91㎞ ~ 조령3관문 ~ 7.8㎞ ~ 조령1관문 ~ 1.5㎞ ~ 새재 주차장
< 하늘재 ← 대간구간(9.39㎞) → 조령제3관문 ← 접속구간(7.8㎞) → 새재주차장 >
◐ 얼마나 : 약 7시간10분 (휴,중식시간 포함) / 17.19㎞ (접속누계 102.8㎞ / 대간누계 300.96㎞)
◐ 누구랑 : 山仰 산토대외 35명 (일반팀 17명)
◐ 날씨는 : 평지기온으로 29℃, 맑고 쾌청함, 시계양호
■ 시간대별
▶ 06:00 연호동 출발 → 중부고속도로 → 선산 휴게소 (07:20~07:45)
▶ 08:50 하늘재 (들머리) → stretching → 단체 인증샷
▶ 09:45 탄항산(856m) → 평천재 (10:20) → 주흘산 갈림길 (10:35)
▶ 11:10 부봉 갈림길 → 부봉 (921m,11:25) → 부봉 갈림길 (return, 11:40)
▶ 11:45 동암문 → 중식 (12:05~12:20) → 북암문 (13:10)
▶ 13:35 마패(역)봉 (922m)
▶ 14:05 조령3관문 (마루금 종료) → 2관문 (15:15) → 1관문 (15:55)
▶ 16:05 새재 주차장 (날머리)
■ 지형도

■ 위성도

■ 고도표

~ 山行記 ~


~ 08:50 들머리 하늘재..~
산행 출발지인 하늘재에 도착한다.
햇볕이 따갑다. 더위가 일찍 찾아온 탓일까?
누군가 산 속임에도 지금 기온이 27˚c라며 매우 더울 것이라는 말을 한다.
하늘재란 명칭은 하늘에 닿을 듯이 높은 고개란 뜻으로 붙여진 것이지만
실제 고도는 520m로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니다.
오늘 가야 할 구간은
하늘재~탄항산~부봉~마패봉~조령3관문으로 이어지는 역방향 南進이다.
이 구간은 이미 두 번이나 다녀간 적이 있기 때문 완주의 의미는 없다.
간단한 stretching후 단체 인증샷을 하고...

~ 계립령 유허비 ~
백두대간 고갯길 중 가장 오래되었다는 '계립령(하늘재)유허비'
이 고갯길을 옛부터 계립령(鷄立嶺)이라고 하였으며,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이 땅의 등줄기인 "백두대간에 처음 열린 고갯길"로 기록되어 있다 한다.
지리적으로는 충북 충주시 수안보와 경북 문경시를 연결하는
군사적인 측면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관문이었다고 한다.

'부봉' 방향으로 남진한다.
다음 구간인 '포함산' 방향이 비탐구간으로 목책으로 막혀 있다.

산비탈을 조금만 오르면 좌측으로 잘 조성된 하늘재의 멋진 표석이 나온다.
이곳에서 다시 모여 사진을 찍고 산행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 통천문 ~
탄항산으로 향하는 등로는 처음부터 가파르게 솟구친다.
가파른 나무계단을 오르고 급경사의 오르막을 치고 오르다 보니
바람 한 점 없는 더위는 초반부터 온몸을 땀으로 적신다.
군데군데 낙엽송 군락지가 숲을 이루고 하늘 높이 뻗어 있다.
작은 봉우리 하나를 올라서니 전망이 트이면서 앞으로 가야 할 능선들이 시야에 들어온다.
뒤로는 포암산 자락의 암릉이
손에 잡힐 듯 보이고...
모래산이란 이정표도 나오고 숨을 헐떡이며 오르다 보면 통천문 비슷한 바위도 만나고..


탄항산 직전에 멋진 소나무 고시목이 있는 조망이 확 트이는 곳에 닿는다.
이곳에서 좌측으로 주흘산이 우측으로는 멀리 월악산의 산군들이 시원스럽게 조망된다.
산토대 마스코트 호진이가 화이팅 포즈를 잡는다.

~ 주흘산 주봉, 영봉 마루금 ~

~ 09:45 탄항산(炭項山,856m).... ~
산행 시작 한 시간쯤 지나서 탄항산(856m)에 도착한다.
세개의 봉우리가 나란히 서있다 하여 '월항삼봉'(月項蔘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상석에는 ‘산들모임산악회 02년11월‘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정상에서의 조망은 나무들로 인해 별로다.


~ 탄항산에서 바라본 주흘산 주봉 & 영봉 ~

~ 10:20 평천재 ~
탄항산을 지나면서 부터는 오르내림이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진다.
정상을 뒤로 한지 얼마 후 아무 표지판도 없는 삼거리가 나타나고
다시 안부에서 오르막을 힘겹게 오른 후 능선을 내려가면 평천재에 다다른다.
이후 가파른 오르내림을 계속한 뒤
좌측은 경사가 급하고 우측은 완만한 안부에 도착한다.
좌측 길은 월항리에서 올라오는 길이고 우측으로 가는
길은 주흘산 갈림길을 거치지 않고

~ 10:35 주흘산 갈림길...~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이 있는 법,
내리막 아래로 뚝 떨어지니 주흘산 갈림길이 나온다.
직진하면 주흘산으로 향하는 등로로서
여기서부터 주흘산 정상까지는 약 1시간 정도 소요된다.
대간 길은
이곳에서부터 90도 꺾이면서 우측으로 산행이 시작된다.
일반 산행팀 한 분이 이곳에서 주흘산으로 외롭게 출발한다.

~ 부봉이 점점 가까이...
진행 마루금에서 올려다본 부봉 제1.2봉 & 선바위 ~

~ 11:10 부봉 삼거리 도착 ~
다시 소나무가 우거진 작은 능선을 오르내리며 조금을 가다 보면
등로는 조금씩 내리막이 된다.
철계단 구간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면서
전면에 우뚝 솟아있는 부봉이 보이기 시작한다.
큰 어려움이 없는 로프 구간을 지나면 부봉 갈림길 이정표 가 나온다.
백두대간의 마루금은
부봉으로 뻗어나가지 않고 아래쪽 동암문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곳에서 부봉에 오른 뒤 다시 삼거리로 돌아와야 한다.
가본 적이 있는 부봉은 가지 않으려 했으나 일행들이 있어 하는 수 없다.
제1봉 까지는 까지는 10여 분 정도면 올라갈 수 있으나 암릉 구간의
로프를 타야 하는 오르막길로 꽤 힘이 든다.

~ 11:25 부봉(釜峰) ~
백두대간의 줄기인 조령산과 주흘산 사이에서 갈래친 부봉은
암릉미의 극치를 이룬 대 자연의 걸작품이다.
부봉에서 잠시 조망해 본다.
멀리 월악산의 주봉을 비롯 준령들이 파노라마 처럼 펼쳐지며
30회차 탐사 구간인 포함산을 거쳐 대미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의 주능선과 주흘 관봉, 주봉이 한눈에 조망된다.
부봉은 여섯 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봉의 아름다움은 2봉에서 5봉 사이인데 아쉽게도 제1봉만 보고

~ 부봉에서 바라본 포함산 (가운데 슬랩봉) ~

~ 부봉에서 바라본 좌로부터 주흘관봉, 주흘주봉, 꼬깔봉 ~

~ 11:45 동암문 ~
마패봉 방향으로 내리막길을 내려서면
옛 성곽의 잔해가 그대로 있는 동암문에 도착한다.
서쪽으로는 조령관 아래의 동화원으로 연결된다.
동암문을 지나 오르막 능선 길 따라
산성이 고스란히 이어져 있어
이곳이 군사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임을 짐작할 수 있다.

북암문을 지난다.
이곳에서도 조령 2관문에서 조령 3관문으로 올라오는 지점에 있는
동화원으로 내려갈 수 있다.
우측 옆에는 산성 돌담이 아가 자기 하게 쌓여 있는데
이 조령 산성은 마역(패)봉~제3관문까지 이어진다.

북암문에서 마패봉 오르는 능선은
성곽을 타고 경사 길을 오르다가 좌측으로 돌면서 나무계단을 오르고
중간 지점에 이르면 철계단이 보인다.
철계단을 힘겹게 올라 중간지점에 서면 시야가 트이면서 조망이 좋다.
이곳에서 조망을 하며 숨을 고른 뒤
다시 더위와 싸우며 사력을 다해 능선을 한걸음 한걸은 오르면
마패봉(마역봉) (927m)에 도착한다.

~ 13:35 마패(역)봉(922m) ~
마패봉은 문경과 충북 괴산이 경계를 이루는 봉우리로
어사 박문수가 이산을 넘으면서 마패를 걸어놓고 쉬었다는 데서 유래되어
문경에서는 마패봉, 충북에서는 마역봉으로 불리고 있다.
정상에서의 조망은 시원스럽다.
우측으로 신선봉이 보이고
정면으로는 조령산~백화산으로 이어지는 28회차 마루금이 한눈에 들어온다.

~ 마패봉에서 바라본 조령산~
백화산으로 이어지는 28회차 마루금

~마패봉에서 바라본 부봉(제1~6봉) 뒤로는 주흘산 마루금..~

~ 마패봉에서 바라본
마루금에서 살짝 비켜나 있는 신선봉... 아쉽게도 바라만 보고..~

~ 마패봉에서 내려다본 새재계곡 ~
저 멀리 지나온 탄항산과 부봉(제1봉~6봉)의 마루금도 보인다.
다시 부봉 삼거리로 되돌아 내려온다.
동암문으로 바로 가는 지름길인데 대간꾼들이 지치면 곧잘 이용하는 길이다.

~ 소원바위 ~
마패봉에서 제3관문으로 하산길은 급사면 길이다.
로프 구간을 지나
한참을 내려오다 보면 저마다 소원을 기원했을 소원바위도 나오고
또 다시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진 후
새재에서의 확성기 소리가 들려오기 시작한다.


~ 문경새재 조령3관문 (14:05) ~
드디어 오늘의 대간구간 종점인 문경새재에 도착한다.
새재 조령관(제3관문)은
28회차 하산했던 그 모습 그대로 우릴 반겨주고 있다.
가뭄 탓인지 2주 전만 해도
시원하게 뿜어져 나오던 조령샘은 거의 물이 말라 버렸다.
미리 도착한 선두님들과 반갑게 조우하며
평상에 걸터앉아 비교적 긴 휴식을 취해 본다.
이곳부터 접속구간으로
28회차 도착지인 충북 괴산 쪽 고사리 주차장 반대편인 우리에게 익숙한
문경 방면 새재 주차장으로 내려선다.
거리는 약 7Km / 2시간 정도 소요되지만 마사토 길을 맨발로 걸어도 보며
주변 볼거리도 많아 크게 지루한 줄 모르며 내려올 수 있다.
마사토길~2관문~교구정~용추~원터~세트장~1관문
도중에 계곡물에 반신욕도 하고 사진도 찍느라 시간을 지체해서 그런지
주차장에는 이미 하산주가 시작되고 있었다.

~ 새재 주차장 (16:05) ~
~ 새재계곡(조령관~주흘관) 이모저모 ~














~ 산토대 전반기 단합대회 ~






'☞ 산~ 따라 … > 백 두 대 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제57-31구간 (저수령~황장산~차갓재) (0) | 2023.01.27 |
---|---|
백두대간 제57-30구간 (하늘재~포함산~차갓재) (1) | 2023.01.26 |
백두대간 제57-28구간 (이화령~조령산~조령3관문) (0) | 2023.01.26 |
백두대간 제57-27구간 (이화령~백화산~지름티재) (0) | 2023.01.26 |
백두대간 제57-26구간 (버리미기재~구왕봉~지름티재) (0) | 2023.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