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 정보공유 …/산행가이드34

백두대간의 중요성 백두대간, 왜 중요한가? ​ 민족정기와 백두대간 ‘백두대간’은 옛부터 그렇게 불려오던 이름이므로 백두대간으로 불러야 한다. 우리 선조들은 전통의 산줄기를 그렇게 불렀다. 또 그렇게 인식하는 것이 민족정기 고취는 물론 단순히 지리정보를 가장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전달 할 수 있는 길이므로 미래세대에도 그렇게 가르쳐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고유의 산줄기 개념이 일제 강점기를 지나 해방이후, 아직도 고쳐지고 있지 않은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 백두대간 개념은 백두산으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기둥 줄기를 백두대간이라 하고, 이 기둥 줄기로부터 뻗어나간 줄기를 정간·정맥으로 분류하고 이름 붙여, 우리나라를 1대간-1정간-13정맥으로 체계화하여 보전·관리하던 민족 고유의 산줄기를 뜻한다. ​ 조선시대.. 2023. 2. 27.
백두대간 구간별 세부 일정표 백두대간 구간별 세부 일정표 [ 산앙산악회 ] *평생 언젠가 한 번은 해야 할 5만리* (실 대간거리1700리 및 접속거리, 차량 이동거리 추산) ★ 백두대간 일정 : 총 57구간 평일 (목요팀: 매주 목요일, 토요팀: 매월 2,4주, 일요팀: 매월 1,3주) ★ 여유 있는 진행과 빠른 귀가를 위해서 다소 이른 출발을 합니다. ★ 표기된 도상거리는 지도상 거리이며 실 산행거리는 도상거리에 20~30%를 더하면 근사치가 됨 ★ 산행시간은 보통의(?) 기준이며 기준 시간보다는 통상 30분~1시간 더 여유를 드립니다. ★ 구체적 진행은 통상 북진을 원칙으로 하나 입산통제구간 및 기간, 접근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랜덤식 및 구간별 남,북진 혼용하여 진행합니다. ​ ~ 지리산권 ~ 구간 대 표 산행지 코스 (고.. 2023. 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