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본문 바로가기
☞ 산~ 따라 …/전라제주권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 [성판악~백록담~관음사]

by 원언더 2023. 4. 6.
반응형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

 

★ 일 시 :  2021.05.25~05.26 [1박2일]

★ 코 스 :  성판악 ~ 백록담 ~ 관음사

★ 고 도 :  1,950m

★ 거 리 :  약 21.0km

★ 시 간 :  약10시간30분 [07:10~17:40]

★ 속 도 :  천천히

★ 날 씨 :  구름많음 / 오후늦게 비

 

■ 안내도

 

[첫째 날]

제주마실 게스트 하우스

트윈룸 / 35,900원, 더블룸 / 33,900원, 패밀리4인룸 / 52,900원

 

 

 

제주 동문 야시장

제주도에서 가장 오래된 상설 재래시장이다.

<은갈치 /특대 / 15만원>

 

 
 
 
[둘째 날]

07:00 한라산 들머리 성판악

한라산은 탐방예약제로 운영되며

성판악 코스는 1일 1,000명, 관음사 코스는 1일 500명으로 제한된다.

 

 

 

진달래 대피소까지 운행하는 모노레일

 

08:30 속밭 대피소

 

 

 

09:15 사라오름 갈림길

 

10:00 진달래 대피소

해발 1,500m에 위치하며 12:30까지 이곳을 통과해야

한라산 탐방이 가능하다.

 

 

 

고사목이 되어버린 구상나무

세계적으로 크리스마스 트리로 많이 쓰이는 구상나무

서늘한 한라산 중턱에 자라는 나무인데 제주도 평균기온이 상승하여 멸종 위기에 왔다고 한다.

기온 상승과 병해충 확산으로 나무가 약해져 태풍이 올 때마다 힘없이 넘어져

죽어나간다고 하며 기온 상승으로 한라산이 살기 부적합해진

상황이라 보존도 어렵다고 한다.

 

 

 

서귀포 시가지

 

최근 10년 동안 한라산에서 사라진 구상나무숲은 전체 면적의 15.2%가 줄었으며

한라산 전체 약 20만 그루가 고사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함.

 

 

 

 

 

정상석 인증샷을 위해 1시간 정도 줄을 서야 한다.

 

11:40 동릉에서 바라본 한라산 백록담

[명승 제90호]

 

 

 

한라산 백록담 [1,950m]

 

제주 시가지를 내려다보며 관음사로 하산한다.

 

 

 

좌측으로 조망되는 백록담 북벽

 

왕관바위와 그 너머 재주 시가지

 

 

 

한라산 북벽

 

13:40 2007년 태풍 나리때

폭우에 사라진 추억 속의 용진각 대피소

 

한라산 북벽 / 장구목 / 삼각봉

 

왕관바위

 

 

 

왼쪽 왕관바위 / 한라산 북벽

 

14:00 삼각봉 대피소

 

 

 

 

 

 

 

16:50 석빙고로 사용한 구린굴 쉼터

 

17:40 날머리 관음사 주차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