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 따라 …/서울경기권

서울 북한산 [북한산성~백운대~도선사]

원언더 2023. 3. 11. 10:05
반응형

서울 북한산 

 

♣ 일 시 :  2011. 03. 03  [토]

♣ 코 스 :  정릉 ~ 칼바위능선 ~ 북한산성 ~ 위문 ~ 북한산<백운대> ~ 하루재 ~ 도선사

♣ 고 도 :  836m [백운대]

♣ 거 리 :  약 10.5km

♣ 시 간 :  약 5시간 10분 [휴, 중식 30분 포함]

♣ 난 도 :  중급

♣ 날 씨 :  맑고 포근함

 

■ 특징/볼거리

백운대, 인수봉, 만경대가 큰 삼각형으로 놓여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삼각산으로도 불린다. 고려시대부터 삼각산이라고 하다가 일제시대 이후 북한산이라 불리기 시작했다. 서울 근교의 산 중에서 가장 높고 산세가 웅장하여 예로부터 서울의 진산으로 불렸다.

주봉인 백운대에 오르면 서울 시내와 근교가 한눈에 들어오고, 맑은 날에는 강화도·영종도 등 황해의 섬도 보인다. 백운대 북쪽에 있는 인수봉은 암벽 등반 코스로 인기가 높다. 백운대의 남쪽에 있는 만경대는 주변 경관이 좋아서 붙여진 이름으로, 예로부터 국망봉이라 불렸다. 무학이 나라의 도읍지를 정할 때 여기에 올라서 내려다보고 결정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 안내도

 

■ 산행기

 

~ 11:05 정릉탐방지원센터 ~

오늘 코스는 북한산 칼바위 능선의

스릴과 쾌감을 만끽하기 위해 '정릉탐방지원센터'를 들머리로 잡는다.

 

 

 

 

 ~11:32 보국문, 칼바위 능선 갈림길 이정표 ~

직진하면 보국문으로 가는 길이며..

칼바위 능선은 우측으로 가파른 오르막길 30분 정도 치고 올라야 한다..

 

~ 칼바위 능선에서 바라본 삼각봉

<백운대, 인수봉, 만경대> ~

 

~ 칼바위 능선에서 바라본 도봉산 방면 ~

 

~ 칼바위 능선에서 바라본 북한산성 보국문

<가운데 안부> ~

 

~ 칼바위 능선에서 바라본

보현봉, 문수봉 방면 ~

 

~ 멀리 한강도 아스라이 보이고.. ~

 

~ 남산 타워도 조망이 된다.. ~

 

~ 뒤돌아본 칼바위 능선..~

이미지상 위험해 보이지만 걸어보면 위험은 없다..

안전하게 우회하는 등산로도 있다.

 

~ 12:43 칼바위 능선에서

북한산성을 접속하고 우측 성벽 따라 조금 가면 대동문을 만난다. ~

 

~ 대동문 입구에는 넓은 공터가 있어 휴식 겸 식사하는

산꾼들로 넘쳐난다.~

 

~ 장군의 지휘소로 사용하던 동장대..

1996년도 복원한 것이다., ~

 

~ 동장대에서 바라본 산성 주능선 ~

 

~ 다시 용암문으로..~

 

~ 13:36 우이동으로 통하는 비밀통로로 사용하였다는

'용암문' ~

 

~ 13:50 백운대, 노적봉 갈림길 ~

이곳에서 진행 방향 좌측으로 오르면 노적봉이지만 시간이 없어 그냥 패스하기로 한다. 

 

~ 백운봉 가다 뒤돌아본 노적봉 ~

 

~ 14:14 백운대 아래 위문 ~

백운봉 등정 뒤 다시 이곳으로 리턴 백운동 탐방지원센터로 하산한다.

 

~ 뒤돌아본 위문에서 백운대 오름 길... ~

 

~ 백운봉 정상 아래에서 바라본

맞은편의 만경대 ~

 

~ 백운봉 정상 아래에서 바라본

불암산 방면 ~

 

~ 우측으로 조망되는 한국의 대표적인 암벽등반 장소인

일반 산객들은 오를 수 없는 인수봉의 짜릿한 암벽 클라이머 ~

 

~ 북한산 3.1운동 암각문 ~

목책으로 보호되고 있으나 훼손되어 알아볼 수 없다.

 

~ 14:34 백운대<白雲臺> 정상 <836m> ~

 

~ 백운대 정상에서 바라본 인수봉 ~

 

~ 백운대 아래 또 다른 암봉 ~

 

~ 정상 아래 꽤 넓은 슬랩 바위는 산꾼들의 쉼터로 안성맞춤이다..~

 

~ 백운대 정상에서 바라본 노적봉 ~

 

~ 백운대 정상에서 서북쪽으로 뻗어내린 원효봉 능선 ~

 

~ 백운대 정상에서 바라본 만경대와 노적봉 ~

 

~ 15:04 위문을 거쳐 하산 중

백운 대피소에서 잠시 쉬어간다. ~

 

~ 하산길 조망처에서 바라본

인수봉의 또 다른 모습 ~

 

~ 14:42 하루재를 거쳐 백운동 탐방지원센터로 내려선다.~

이곳 주차장은 승용차와 셔틀버스만 주차 가능하기 때문 버스 탑승은 이곳에서 우이동 주차장으로

약 20분 정도 내려가야 한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10분 정도 올라가면 도선사가 나온다.

 

 

~ 도선사 [道詵寺] ~

 

 

 

 

~ 연등에 가리워진 도선사 마애불 입상 ~

도선사 마애불입상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4호로 대웅전 뒤편의 거대한 바위 한쪽을

깎아 조성되어 있다. 팔공산 갓바위처럼 영험이 있다고 하여

축수객이 끊이지 않는다고 한다.

 

 

~ 우이동 주차장에서 스틱을 접는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