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 퇴계 예던길 [농암종택~고산정~전망대]
퇴계 예던길 / 봉화
퇴계가 걷던 옛길이라고 해서 '퇴계 예던길' 이라 한다. 도도히 흐르는 낙동강 물길과 나란히 하며 걷는다. 퇴계는 그림처럼 아름다운 그 길을 걸을 때마다. 자신이 '그림 속에 들어간다' 라고 표현했다. 퇴계 예던길은 사색의 길이다.
◑ 일 시 : 2019. 10. 05 [토] 10:40~14:50
◑ 코 스 : 농암종택 ~ 가송교 ~ 고산정 ~ 전망대 ~ 주차장
◑ 거 리 : 10.4km
◑ 시 간 : 02시간 10분
◑ 속 도 : 천천히
◑ 난 도 : 초급
◑ 날 씨 : 짙은구름
~ 안내도 ~

~ 트레킹 ~


~ 농암종택[聾巖宗宅]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에 있는 농암 이현보의 종택이다. 이현보는 1504년(연산군 10년)에 사간원정언으로 있다가 임금의 노여움을 사 안동으로 유배된 인물이다. 농암종택이 있던 곳은 분천마을이었지만 안동댐 건설로 수몰되어 이 곳으로 옮겨 놓았다.


~ 농암의 어머니 '권씨부인 선반가'
자식[농암]이 승진하여 귀향하니 어머니가 기뻐서 노래한 시가문학
먹기도 좋구나 승정원 선반이여
놀기도 좋구나 대명전 기슭이여
가기도 좋구나 부모 향햔 길이여




~ 1699년에 세운 조선시대의 사립대학 '분강서원'


~ 가송리 '가송교'

~ '가송교'에서 바라본 낙동강 상류

~ 가송리 기점 안내도 [고산정 입구]


~ 고산정[孤山亭]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74호]
고산정은 정유재란시 안동 수성장으로 활약하여 좌승지(左承旨)에 증직(增職)된 바 있는 성성재(惺惺齋)금난수(琴蘭秀)의 정자이다. 고산정은 안동팔경(安東八景)의 하나인 가송협(佳松峽)의 단애(斷崖) 아래에 자리 잡고 있는데, 정자의 주위에는 외병산(外屛山)과 내병산(內屛山)이 병풍처럼 둘러 있고 낙동강의 상류인 가송협의 건너에는 송림과 함께 독산(獨山)이 솟아 있어 절경을 이루고 있다.



~ 고산정에서 바라본 낙동강

~ 가송리 마을 쉼터 정자




~ 전망대에서 바라본 강 건너편 '농암종택' [전망대에서 중식]

~ 전망대에서 바라본 낙동강


~ 날머리 주차장...
예던길 5코스 끝 지점인 주차장 기점 안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