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제57-34구간 (고치령~마당치~늦은맥이재)
백두대간 제57-34구간 (고치령~마당치~늦은맥이재)
◐ 언 제 : 2011 / 08 / 27 (토)
◐ 어디로 : 좌석리 ~ 4.0㎞ ~ 고치령 ~ 1.8㎞ ~ 형제봉 갈림길 ~ 0.9㎞ ~ 마당치
~ 3.2㎞ ~ 연화동 삼거리 ~ 3.2㎞ ~ 늦은 맥이 재 ~ 1.0㎞ ~ 상월봉 ~ 4.1㎞ ~ 점마
<좌석리 ← 접속구간(4.0㎞) → 고치령 ← 대간구간(9.1㎞) → 늦은맥이재 ← 접속구간(5.1㎞) → 점마>
◐ 얼마나 : 약 6시간 40분 (휴, 중식시간 포함) / 18.2㎞(접속누계 119.1㎞ / 대간누계 378.96㎞)
◐ 누구랑 : 山仰 토요 대간팀 22명 & 일반팀 3명
◐ 날씨는 : 짙은운무, 시야 20%
■ 시간대별
♣ 06:00 연호동 ~ 07:40 안동휴게소(중앙고속)
♣ 08:55 좌석리 ~ 차량이동 ~ 09:30 고치령
♣ 10:30 마당치
♣ 11:50 연화동삼거리 ~ 식사(12:50)
♣ 13:15 늦은맥이재
♣ 13:50 상월봉 ~ 15:25 석천폭포
♣ 16:10 점마마을
■ 지형도

■ 위성도

■ 고도표

■ 산행기
대지를 녹일듯한 무더위도
처서를 지나자 기세가 꺾여 조석으로 이불을 덮지 않고 자면 추위를 느낄 지경이다.
수 천년 전에 정해놓은 節氣가 지금도 정확하게 맞는 것을 보면 옛날 사람들의 지혜에
다시금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
오늘은 그간 무더위가 한풀 꺾이며 약간 흐린 날씨에 기온도 좀 떨어져 마치 가을로
접어드는 듯한 날씨로 산행하기에는 좋은 조건이다.
금일 구간은 지난 회에 계속되는
국립공원 소백산권으로 영주시 단산면 좌석리의 단산
저수지를 지나 좌석2교(고칫재팬션)에서 하차하여 고치령에 올라 남하하여
상월봉에서 대간 길을 버리고 석천계곡을 타고 순흥면 점마마을로 하산하는 약 15km
거리로 7시간 정도가 소요될 예정이다.
대간 산행에서 마루금 접속을 위한 코스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다양한 접속 코스를 택하여 각 지역 산골 마을의 생활상과 계곡 풍광 또한 산을 찾는
이에게는 대간 능선 길 이상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 08:55 좌석리 주차장 ~
좌석리에서 하차하니 마을과 과수원들이 보이고 주변은 산으로 둘러싸여
병풍을 두르고 있는 듯한 전형적인 산골마을 풍경이 펼쳐진다.

여기서 마루금 접속 지점인 고치령까지는 5km 정도로서 대형 차량은 진입이 불가하여
마을분의 1톤 화물차를 이용하여 이동키로 한다(1인당 3,000원)
오늘 산행기점인 고치령를 넘어가면 충북 단양군 영춘면을 지나 마대산이 위치한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계곡 유적지로 연결된다.

~ 느타리 버섯 ~
트럭을 타고 구비 돌아 고치령을 향하는데 중도에 갑자기 차량이 정지한다.
기사분이 내리더니 도로 옆 능선에 자생하고 있는 흰색갈의 버섯을 한 움큼 채취하여
우리 일행에게 주면서 자연산 느타리버섯이라며 일대에 많이 자생하니 산행 도중
채취하라고 일러준다.


~ 09:30 고치령 <760m> ~
고치령은 경북 영주시 단산면 좌석리와 마락리를 잇는 고개이다.
인적이 없는 고치령에는 표지석과 단종의 위패를 모셔놓으 산신각, 장승목, 이정표 등 아담하고
조화로운 풍경이 고즈녘한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 단종 위패를 모셔놓은 산신각 ~


~ 고치령에서 stretching ~


오늘 코스도 대간 산행이 아니면 오지 못할 코스다.
들머리로 진입하여 잠시 후 능선 산행이 이어진다.
사람들이 많이 찾지 않는 곳이어서 마루금 주변은 자연상태 그대로 잘 보존되어 있다는 느낌이 든다.
고치령에서 30여분 진행 후 오르막을 올라서니 옛 성터로 보이는 흔적들이 남아있고
고치령 1.9km 이정표도 만난다.

~ 10:30 마당치 ~
다시 863봉과 형제봉 갈림길을 지나 약 한 시간여를 진행하니 마당치에 내려선다.

~ 11:50 연화동 갈림길 ~
잠시 휴식을 취한 후 다시 출발 다소 지루한 가운데 연화동 갈림길에 도착한다.
여기서 좌측으로 내려서면 연화동 민박촌에 이어 금일 출발 지점인 좌석리에 도달한다.
국립공원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긴급 구조용 목재 팻말이 일정한 거리마다
설치되어 있어 이정표 역할도 하고 있다.


~13:15 늦은맥이재~
전 회차 및 오늘의 대간 구간 종료지점이다,
전 회차 대간 시는 이곳에서 우측 을전 새터 주차장으로 하산하였으나
오늘은 다시 상월봉으로 진행한 후 반대편인 점마 마을로 내려선다.
이곳부터 상월봉까지는 전 회차 지나온 마루금이지만 점마마을 하산이 상월봉에서
시작됨에 따라 역방향으로 다시 올라간다.
이렇게 하산지점을 다양하게 잡아 여러 지역의 풍광명미를 즐길 수 있다는 것은
대간만이 즐길 수 있는 또 다른 묘미가 아닐까 한다.

~ 늦은맥이재에서 중식 ~
우리는 중식을 서둘러 마친 후
점마 마을 하산지점 접속을 위해 두 번째 상월봉으로 향한다.


~ 13:50 상월봉 <1,394m> ~
늦은 맥이 재에서 약 30여분 진행한 후 날카로운 암릉 구간을 힘겹게 올라가니 상월봉 정상이다.
소백산 능선 중에 조망과 시원함이
빼어나다는 이곳, 상월봉과 국망봉 사이의 철쭉과 야생화는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오늘은 안개에 휩싸여 원거리 조망은 불가능하다.
하산지점인 석천계곡 방향을 내려다 보니 역시 안개에 묻혀 신비로운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정상에서 회원님들과 인증샷을 마친 후
좌측의 급경사 암릉지대인 석천계곡으로 내려선다.
울창한 밀림과 함께 아름드리 낙엽송이 하늘을 찌를 듯이 솟아있다.

~ 미리 보는 소백의 가을 ~

~ 석천계곡 상류 ~

~ 15:25 석천폭포 ~
소백산의 국망봉과 상월봉 사이 계곡물이 높이 약 15m의 깎아지른
절벽에서 내리쏟는 석천폭포는 천년의 정적을 깨는 자연의 신비를 간직한 소백산의 명물이다.
내려가는 길은 험하지 않고 편안한 흙길이 이어진다.
한참을 내려온 후 오른쪽 가파른 경사길로 접어드는데,
이곳부터는 너덜 길이 이어진다.
이어서 물소리가 들리고 깊은 계곡을 지나는데 소리만큼이나 깨끗한
계곡물이 눈길을 끈다.
간혹 폭포를 이루어 세차게 떨어지는 곳에는 자그마한 웅덩이들이 자리 잡고 있는데,
알탕하고 싶은 생각은 간절하나 시간이 너무 지체되어 아쉬움을 접고 부지런히
하산길을 재촉한다.

~ 16:10 날머리 덕현리 점마마을 ~
어느덧 계곡을 벗어나 점마마을 농장에 도착한다.
바로 아래 개울에서 목욕을 하고 천천히 하고
마을버스정류소에 도착하여
간단하게 하산주를 만찬 후 약 한 시간쯤 기다리니
총무님이 여성 회원 두 명과 함께 후미로 내려온다.
오늘 처음 참가한 여성 한 분이
컨디션 난조로 인해 총무님께서 동행하느라
지연되었다는 소식에
우리는 후미 그룹을 박수로 격려한 후 버스에 올라 대구로 향한다.
감사합니다.
** 상월봉의 야생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