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제57-09구간 (복성이재~봉화산~중고개재)
백두대간 제57-09구간 (복성이재~봉화산~중고개재)
♣ 언 제 : 2010 / 08 / 14 (토)
♣ 어디로 : 복성이재 ~ 4.11㎞ ~ 봉화산(920m) ~ 7.73㎞ ~ 중재 ~ 1.8㎞ ~ 중고개재
~ 1.7㎞ ~ 중기마을
< 복성이재 ← 대간구간(11.84㎞) → 중고개재 ← 접속구간(1.7㎞) → 중기마을 >
♣ 알마나 : 약 6시간 30분 (휴, 중식시간 포함) / 13.54㎞ ( 접속누계43.6㎞ / 대간누계 106.99㎞ )
♣ 누구랑 : 山仰 토요팀외 24 명 (남자21, 여자3 )
♣ 날씨는 : 흐림, 바람 한점 없는 찌는듯한 무더위
■ 시간대별
▶ 07:00 연호동 ~ 88고속도로 ~ 거창 휴게소 (08:18~08:45)
▶ 09:40 복성이재 도착 ~ stretching, 단체 인증샷 ~ 09:50 <산행시작>
▶ 11:25 봉화산 정상 ~ 철쭉군락지 ~ 점심 (12:50)
▶ 13:47 광대치
▶ 14:23 월경산 입구
▶ 15:00 중치
▶ 15:43 중고개재 <대간날머리>
▶ 16:20 중기마을 <산행종료>
▶ 16:40 대구출발
■ 지형도

■ 위성도

■ 고도표

■ 山行記
오늘은 지리산권을 벗어나는 마지막 구간 봉화산 구간이다
일기예보는 비가 내린다고 되어 있으나
복성이재에 도착할 즈음 비는 내리지 않는다.
다만, 새벽까지 내린 비로 인한 습기 때문 오늘 산행이 쉽지 않음을 예고해 준다.
들머리 도착(09:40)
이곳 복성이재에서 이정표를 따라 오늘의 봉화산 산행은 시작된다.
사면을 타고 20분쯤 오르면 전망대가 있지만 운무로 조망은 되질 않는다.
전망대에서 조금 내려가면 치재에 도착하고,
이곳에는 지나는 사람들이 잠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정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치재 아래에는 주차장도 보인다.
치재를 지나 조금 올라가 완만한 능선 길에는
철 지난 철쭉들이 등산로를 가로막고,
군데군데 철쭉나무가 터널을 만들어 놓고 있다.
철쭉꽃이 장관을 이루고 피어 있을 모습들을 상상해 보며
철쭉 숲길을 지나간다.
철쭉꽃이 만개했을 때 이 길을 걷노라면 얼마나 좋을까.
봉화산 정상(11:25)
장수군, 남원시, 함양군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1차 기착지인 봉화산에 도착한다.
정상 주변에는 탐방로 조성 공사가 진행 중이어서 조금은 어수선한 분위기이다.
황포돛대를 연상케하는 정상석이 일품이다.
정상석과 함께 사진 한 장으로 흔적을 남기고 휴식을 취한 후
또다시 대간 길을 재촉한다.
지금부터는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지는데 잠시 왼쪽으로 임도가 보이고
한참 임도와 나란히 걸어간다.
공사 중인 쉼터 정자도 보이고 나무계단 공사도 한창이다.
우리는 임도를 가로질러 또다시 여유로운 능선 길을 만끽한다.
봉화산부터 이곳까지 계속해서 광활한 억새풀 군락지다.
지난번 만복대보다는 억새풀 군락지가 훨씬 넓은듯하다.
잠시 후 870봉에 도착하니
산소 주변으로 패랭이꽃이 아름답게 무리 지어 있다.
잠시 휴식을 취하는 사이 자연스럽게 우리 일행들이 대부분 합류한다.
944봉을 지나 식사를 해결하고..
산행을 계속 936봉을 지나 광대치에 도착한다.
이정표는 있으나 부실 공사였는지 글자는 색이 바래어서 알 수도 없다.
광대치(13:47)
광대치를 지나 가파른 사면을 올라
능선 길에서 왼쪽으로 방향을 잡으면서부터
오른쪽으로 약초재배 단지 보호 철조망이 있는데 한참 동안 이어져 있다.
광대치에서 30분쯤 진행하면 월경산 갈림길이 나타난다,
월경산은 대간 주능선에서 오른쪽으로 약간 벗어나 있어 그냥 지나치기로 한다.
중재(15:00)
중재에 도착한다.
이곳에서 오른쪽으로 가면 오늘의 도착지인 중기 마을로 바로 갈 수도 있다.
여기서 직진하여 중고개재까지는 그리 멀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고지가 보이고 저곳만 넘어서면 중고개재이려니...
가고 보니 또 자그마한 오르막이 있고 이러기를 몇 차례...
오늘의 습한 날씨는 산행을 엄청 힘들게 한다.
땀과 습기가 뒤범벅이 된 채...
중고개재(15:43)
드디어 중고개재에 도착하여 대간 코스를 벗어난다.
우측으로 중기 마을을 향해 내려간다.
잠시 후 경사면에 시멘트 포장도로가 나타나고
중고개재에서 20여 분쯤 내려오면 중기 마을에 도착
마을을 지나 조금 더 내려오니 중치 갈림길이 나타나고
갈림길 다리 위에 버스가 기다리고 있다.
다리 주변에는 계곡물이 흘러넘친다
중기 마을(16:20)
우리 일행들은 냉기가 느껴지는 계곡물에 찌든 몸을 씻은 다음
일행 중 가장 연장자분이 마련한
꿀맛 같은 닭백숙 하산주로 허기를 채우고
(성함을 몰라 죄송)
버스에 몸을 싣는다.
오늘 함께하신 모든 분들 고생하셨습니다..



▲ 복성이재 산행 기점 <09:50>...
복성이재는 장수군 번암면과 남원시 아영면의 경계지점에 있는 고갯마루이다.
중치 방향으로 진행한다.

▲ 흥부가 박을 캐고 부자가 되었다는 흥부 발복지 성리마을 방면

▲ 철쭉단지 매봉 전망대

▲ 다리재...
봉화산 정상 조금 못 미쳐 있는 조그만 봉우리인데
왜 재라고 하는지는 알 수는 없지만 힘들게 올라온 산객에게 좋은 쉼터임에 틀림없다.

▲ 전망대부터 정상까지 키를 훌쩍 넘는 철쭉 터널이 한동안 이어진다....

▲ 봉화산 정상 <919m, 11:25>..
봉화산은 덕유산에서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 중간지점에 위치한 산이다.
정상은 봉화를 띄웠던 곳이라 조망이 좋아
지리산 노고단부터 천왕봉 주능선 조망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운무 때문에 아쉽다.

▲ 정상석 뒷면의 백두대간 지도다...
눈곱만큼 진행한 지리산에서 봉화산까지...



▲ 봉화산 정상 부근 억새 군락지...

▲ 봉화산 정상을 내려서면서 아름다운 억새군락은 계속 이어진다..

▲ 광대치 <13:47>...
다시 월경산 방향으로 힘겹게 올라가면..

▲ 약초를 시험 재배하는 철조망이 나오고..
철조망을 따라 좌측 지능선 따라 올라간다.

▲ 월경산 갈림길...
월경산은 대간 주능선에서 오른쪽으로 약간 벗어나 있다.

▲ 月鏡山..
월경산은 백운산의 남쪽에 있는 해발 981.9m의 봉우리로 백두대간 마루금에서 조금 비켜나 있다.
정상은 평평한 공터이며 무성한 나무로 인해 특별한 볼거리는 없다.
대간 마루금에서 월경산을 왔다가 돌아가는데 10분이면 충분하다.

▲ 중치 <15:00>...
월경산에서 중치까지는 내리막길이 이어진다.
중치에서 중고개재는 직진이며 오른쪽 방향으로 꺾어도 중기 마을로 내려갈 수도 있다.

▲ 중고개재 <15:43>...
여기에서 대간 마루금을 버리고 접속구간인 우측 중기 마을로 내려선다.
이곳에서 직진하면 백운산 방향으로 가는데 다음 구간에 우리가 가야 할 마루금이다.



▲ 중기 마을에서 <16:20>.. 하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