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 따라 …/팔공올레길

대구올레 팔공산 3코스 [부인사 도보길]

원언더 2022. 10. 7. 08:16
반응형

대구올레 팔공산 3코스 [부인사 도보길] 

 

◑ 일 시 :  2022. 10. 06 [목] 09:12~12:25

◑ 코 스 :  미곡동~부남교~신무동마애불좌상~부인사~수태지~동화집단시설지구

◑ 고 도 :  495m 

◑ 거 리 :  8.6km

◑ 시 간 :  03시간 13분 [휴식 41분 포함]

◑ 속 도 :  천천히

◑ 난 도 :  초급

◑ 날 씨 :  흐림

 

~ 안내도 ~

 

 

~ 트레킹 ~

09:12   미곡동 입구

오르막 길을 걷기 위해 부인사 도보길 시작점을 '미곡동 입구'로 한다.

부인사 도보길은 팔공산 순환도로 신무동 까지 버스가 다니는 차도로 이어진다.

시골 차도지만 생각보다 오가는 차들이 많아 주의를 요한다.

[버스정보]

아양교역 2번 출구에서 급행1, 401 탑승 '미곡동2' 주차장 하차

 

미곡동 마을

새마을 운동 시기 때나 볼 수 있었든 '지덕노체' 표석이 아직도 있다.

 

'에움길'이란

'둘러서 가는 멀고 굽은 길'이라는 뜻으로  지름길의 반대어다.

 

차도만 따라가면 알바 염려는 없다.

 

09:44  달마사

 

09:47  용수동 당산

[대구 민속자료 제4호]

 

 

 

09:55  용수동 '부남교'

부남교는 팔공산 둘레길 3코스 및  왕건길 3코스의 시작점이기도 하다.

 

부남교에서

신무동으로 이어지는 차도 따라 직진한다.

 

석불암

 

10:09  농연서당

 

10:17  독불사

팔공산 자락에는 개인이 운영하는 작은 사찰이 유난히 많다.

 

10:20  용수동을 지나 '신무동'으로 들어선다.

 

천불사

 

10:52  구룡사 갈림길 

이곳 갈림길에서 차도를 버리고

우측 구룡사 방향으로 조금만 오르면 '신무동 마애불좌상'이 있다.

 

신무동 마애불좌상 [대구 유형문화재 제18호]

얼굴 모습 옷 주름의 표현 등으로 보아 고려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11:05  팔공산 순환도로 접속

 

순환도로에서 뒤돌아본 신무동

 

단풍이 물들고 있는 순환도로 가로수

 

11:13  부인사

신라 선덕여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운 절로 7세기 무렵에 창건되었다.

'부인'이라는 말은 선덕여왕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한다. 이곳은 바로 고려의 호국 정신과 민족 문화의 상징인

초조 대장경판을 보관하던 곳이다. 그러나 이 경판은 건물과 함께 1232년(고종 19)

몽고 침입 때 모두 불타버렸다.

 

 

 

11:34  동치골 주차장

 

수태골 수태지

 

 

 

부인사 도보길 종점 '동화시설 집단지구'

[귀가정보]

급행1 탑승 아양교역 1번 출구 하차

 

반응형